2021년 05월 31일

조직의 정점으로 나아가기 위한 7단계 스폰서십 : 후배 하나 잘 키웠을 뿐인데

당신은 당신의 성공에 엑셀을 밟아 줄 ‘조력자’를 가졌는가?   직장생활을 시작한지 25년이 넘어가니 이제 가장 많이 보이는 것이 ‘사람’인 것 같다. 하지만, 불과 몇년 전까지만 해도 나 살기에 바빠서 후배들에게 어떠한 모습을 가진 선배가 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많이 생각하지 못했는데, 여러 프로젝트를 경험하고 나와 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 후배들과 함께 일하면서 그들의 성과를 이끌어 내야 …

조직의 정점으로 나아가기 위한 7단계 스폰서십 : 후배 하나 잘 키웠을 뿐인데 더 보기 »

커리어 고민, 모여봐 들어봐 4-2 #끝까지간다

묻다, 5년차 제조 대기업 HR 이 일을 계속해도 될지, 다른 직무로 전환해봐야 할지, 이직 해야할지 종종 고민될 때가 있습니다. 이런 고민들을 하다, 나이님은 어떻게 J.P.Morgan 등에서 일한 증권사 커리어에서, 커리어 액셀러레이터로 전환하게 되셨는지 궁금해졌어요. 한편으로는 이 결정을 후회 하지 않는지, 후회하는 순간들이 있었다면 어떻게 지나왔는지 솔직한 이야기들이 궁금합니다.   듣고 답하다 ▶김나이 커리어 액셀러레이터 커리어 …

커리어 고민, 모여봐 들어봐 4-2 #끝까지간다 더 보기 »

커리어 고민, 모여봐 들어봐 4-1 #나를 알아야 찾을 수 있는 일의 재미

묻다, 3년차 외국계 HR 커리어를 고민하기 전에 “나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는데, 저는 커리어 초반보다 점점 더 저를 잘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히려 더 미궁 속으로 빠지는 느낌인데.. 나를 잘 알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까요?   듣고 답하다 ▶김나이 커리어 액셀러레이터 현재 연차에 내가 무엇을 잘하는지, 못하는지 나에 대해 헷갈리거나 생각할수록 어려워지는 것은 당연하다. 우리는 한번도 …

커리어 고민, 모여봐 들어봐 4-1 #나를 알아야 찾을 수 있는 일의 재미 더 보기 »

자문(諮問)보다 자문(自問)

최근 흥미로운 현상을 관찰하고 있다. 각 분야별로 수많은 신생기업들이 생겨나고, 모두는 “스타트업”으로 이름 붙여진다. 일부는 소위 전문가들에게 자문(諮問)을 받으며 성장에 필요한 도움을 얻는다. ‘시리즈’를 막론하고 특히 인사(HR)와 조직문화 분야에서 자문 받는 경우가 많다. 그동안 관찰한 사례들의 패턴은 대부분 유사하다. 스타트업의 대표가 투자자(VC), 다른 대표, 협회 등의 ‘네트워킹’을 바탕으로 ‘전문가’를 소개받는다. 회사의 상황을 공유하고 자문을 계획한다. …

자문(諮問)보다 자문(自問) 더 보기 »

캡티나이티스 현상의 극복, 그 쉽지 않은 여정

1977년 3월 27일 스페인 테네리페섬, 네덜란드 KLM 항공기와 미국 팬암 항공기가 이륙하는 과정에서 충돌했다. 앞이 거의 보이지 않는 짙은 안개 및 관제탑과 조종사간 의사 전달 오류가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사고 조사과정에서 추가로 드러난 KLM기 기장과 부기장의 대화 내용은 충격적이다. 부기장이 “아직 이륙허가를 받지 않았습니다”하며 이미 활주로에서 움직이기 시작한 기장에게 항의하자, 기장은 짜증을 내며 “나도 알아”라며 속도를 높였다. …

캡티나이티스 현상의 극복, 그 쉽지 않은 여정 더 보기 »

두 회사의 차이를 가져온 비결이 무엇인가?

1980년의 두 회사의 비교 가전산업의 강자는 1940~1960년대는 미국의 RCA였다. 이후, 독창성을 바탕으로 기술의 소니가 세계적 명성을 1970년대부터 2000년대 초까지 이어간다. 소니는 ‘왜 음악을 실내에서만 듣는가?’ 작은 생각의 차이가 워크맨이라는 세계적 걸작을 만들었다. 지금 가전의 절대 강자는 삼성전자이다.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시대가 펼쳐지면서 삼성의 이건희 회장은 과감한 투자와 연구개발(R&D)을 기반으로 디지털TV 시장을 장악해 나갔다. 제품의 품질과 성능, …

두 회사의 차이를 가져온 비결이 무엇인가? 더 보기 »

정답은 없다. 관성을 벗어나기 위해 노력할 뿐

회사에서 매주 금요일마다 HR 제도 개선 미팅을 한다. 미팅이 끝날 때마다 한 주의 큰 숙제를 끝냈다는 안도감과 동시에 매번 고민거리가 쏟아져 나와 마음 답답한 채로 한 주를 마무리한다. 그중 스스로 대답하기 어려웠던 고민은 두 가지다. 1.제도 개선을 왜 해야 하지? 우리가 그렇게 문제가 있나? 2.제도 개선으로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나? 구성원과 환경을 바꿀 수 있어? 확신할 …

정답은 없다. 관성을 벗어나기 위해 노력할 뿐 더 보기 »

조직과 구성원을 이해하는 Survey 분석방법론

다양한 방식으로 축적/수집되는 HR Survey 데이터, 어떻게 활용하고 계신가요? 다면평가, 역량평가, 채용 인적성 검사, 면접 점수, 리더십/조직문화 진단 데이터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가 사내에 수집되고 축적되고 있을 텐데요. 이러한 수치화된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분석하고 계신가요? 보통의 경우, 평균을 내서 분석하고 경영진께 보고하게 되는데요. 조직문화 서베이로 예를 들어 보면, 부서별 조직만족도를 회사 평균과 비교하거나, 작년 대비 …

조직과 구성원을 이해하는 Survey 분석방법론 더 보기 »

조직의 ‘앞담뒷담’ 이야기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는 의미는 결국 인간은 개인으로 존재하고 있어도 홀로 살 수 없고 사회를 형성하여 끊임없이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면서 관계를 형성·유지하여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는 동물이라는 의미이다. 사람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부모와 첫 인간 관계를 맺는 것을 시작으로 점차 자라면서 친구, 배우자, 직장 동료,  기타 사회에서 맺는 관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수많은 사람들과 …

조직의 ‘앞담뒷담’ 이야기 더 보기 »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