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06월 07일

이니셔티브(Initiative)를 가지고 일한다는 것

외국계 기업인 우리 회사는 일상적인 업무 커뮤니케이션에서 영어 단어를 꽤 많이 혼용하는 편인데, 그중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 중에 하나는 이니셔티브(Initiative)라는 단어이다. ​ “이번 프로젝트는 OOOO팀이 Initiative를 가지고 진행하고 있으며…” “그 건에 대해서는 OOO님이 Initiative를 가지고 있으니까, 그분에게 contact 해봐.” ​ 특히, 팀 매니저(팀장) 로서 Initiative를 사용하게 되는 상황은 팀원들에게 ‘새로운 or 확장된 역할을 기대할 때’이다. 그동안에 …

이니셔티브(Initiative)를 가지고 일한다는 것 더 보기 »

[데이터로 들여다본 HR] 8편-현지화를 촉진하고 방해하는 요인

해외 사업을 하는 많은 글로벌 기업들에게 현지화는 숙명과도 같이 느껴집니다. 현지 인력을 중심으로 사업 전략이 수립되고 실행이 된다면 마치 ‘현지(local)’ 회사처럼 기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좋아보이는 현지화가 실제 세계에서는 왜 성공하지 못할까요? 여러 가지 설명이 가능하지만 그 중에서도 대리인 이론(agency theory)로 이 현상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

[데이터로 들여다본 HR] 8편-현지화를 촉진하고 방해하는 요인 더 보기 »

일∙조직 속성의 변화와 HR

어느 회사든 회사와 구성원을 둘러싼 경영환경이 변하면 일/사람/조직/제도 관점에서 크든 작든 변화를 모색합니다. 원유정제업이라는 석유/화학 장치산업으로 오랫동안 자리매김해 온 저희 SK이노베이션은 과거처럼 점진적인 변화가 아니라 구성원들이 현기증을 느낄만한 수준의 변화 Momentum (ESG Mega Trend에 맞는 Business Model의 변화, 회사의 목적함수를 Economic Value 일변도에서 Social Value + 이해관계자의 행복으로 변경 등)에 올라서 있습니다. 이에 저희는 과거의 …

일∙조직 속성의 변화와 HR 더 보기 »

[낯설게 캐묻기] 2. 예외조차 예외일 수 없다.

‘진행하시죠.’ ‘네? 그렇지만 이렇게 진행하게 되면 말씀드렸던 문제가…’ ‘상황이 상황이니 이번에는 예외적으로 진행합시다.’ 실무자였던 박00 대리는 회의 막판에 던진 팀장님의 말이 납득이 가지 않았다. 애초에 예외를 적용할 수 있는 규정이었다면 지금까지는 왜 그러지 못했다는 말인가? 이러면 그동안 여러 요청에도 규정대로 진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해 온 나는 뭐가 되지? 득달같이 따지고 들 담당자들의 얼굴이 떠올라 머리가 …

[낯설게 캐묻기] 2. 예외조차 예외일 수 없다. 더 보기 »

동료와 함께 100일 글쓰기 프로젝트 시작

100일 글쓰기 참여자 모집을 하는데 최소 목표는 5명(이 정도면 덜 부끄러울 거 같았고), 최대 목표는 25명(이 정도면 와우! 였던 거죠)이었습니다. 모집대상을 글 잘 쓰고 싶은 분들 뿐만 아닌 여러 분야(생각 정리 등)로 나눴던 것이 적중했을까요? 모집기간 동안 무려 50명을 넘겨 55명이 신청을 했습니다. 와우! 와우! 가 된 거죠. 기대보다 큰 반응, 이걸 어쩌나 어느새 고민은 딱 25명만 받을까, 아님 신청한 모두를 받을까? 였습니다. (사람 마음이 …

동료와 함께 100일 글쓰기 프로젝트 시작 더 보기 »

사무지원직으로 채용한 직원이 과장이 되었지만 지원업무만 한다면?

어느 회사의 고민 A회사는 31년된 영업 중심의 회사로 전국에 시 단위 조직을 가지고 있다. 초기 각 지점과 팀에 고졸 여직원을 각 1명씩 채용해 일반 서무 업무를 하게 하였다. 이들 중에는 지금 과장까지 있는데, 일은 대부분 서무 업무를 하고 있다. 대부분 여직원이며, 전사 70명 수준이다. 처음에는 고졸로 시작했는데, 최근 4~5년 전부터 대졸 직원도 채용되었다. 회사와 개인 …

사무지원직으로 채용한 직원이 과장이 되었지만 지원업무만 한다면? 더 보기 »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