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02월 07일

조직행동, 조직 커뮤니케이션

1. 개요 조직행동론은 ‘커뮤니케이션(=의사소통)은 구성원 간 의미전달로 풀이’한다. ‘의미’는 메시지 이름이고, ‘전달’에는 ‘메시지 도착’이란 뜻과 함께 ‘메시지 이해’까지 포함하고 있다. 또한 ‘집단은 의사소통을 하지 않고는 존재할 수 없다’라고 말한다.​ 조직행동론 커뮤니케이션 연구 대부분은 ‘커뮤니케이션과 조직 효과성 달성’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쓰기·읽기·말하기·듣기는 작업시간의 70%’를 차지하는 만큼, 이들 중 조직의 성과를 방해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을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

조직행동, 조직 커뮤니케이션 더 보기 »

고용노동부 근로감독 대응 유의사항_최종

이번호에서도 고용노동부 근로감독 대응 유의사항③에 이어서 고용노동부 근로감독 주요 점검사항별 대응 체크포인트를 살펴보고자 한다.   (10) 모성보호 모성보호와 관련된 제도는 이른바 모성보호 3법이라고 하는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고용보험법 등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 근로감독 시에는 모성보호 휴가자 등 명단 확인을 통해 모성보호 3법에서 규정한 출산전후휴가, 유사산휴가, 육아휴직,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배우자 …

고용노동부 근로감독 대응 유의사항_최종 더 보기 »

유연근로제 종류와 활용①_유연근로제 필요성과 종류

  근로기준법은 1주 40시간, 1일 8시간을 초과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1주, 1일이라는 근로기준법의 근로시간 제한 단위는 업무의 양에 큰 변동이 없는 사업장에 적합합니다. 그런데 임금산정 단위 기간과 업무의 양이 불규칙한 경우, 하루 또는 주간 단위로는 불규칙 하지만 월 단위 또는 2~3개월 단위로는 평균적으로 주40시간 근무가 이뤄지는 사업장에는 적합하다고 볼 수 없습니다.​ 일과 삶의 균형 …

유연근로제 종류와 활용①_유연근로제 필요성과 종류 더 보기 »

사람 중심인가? 직무 중심인가?

사람 중심의 인사 일제 강점기가 끝나자 마자 6.25 전쟁으로 부존 자원이 없는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가장 못사는 나라 중 한 곳이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먹고 사는 것이 최대의 목적이었다. 정부 중심의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추진되며, 한국의 기적이라는 경제성장을 이룩했다. 여기에는 정부의 길고 멀리 바라본 정책, 나는 배운 것 없지만 자식만큼은 가르치겠다는 부모, 무에서 유를 창출한 기업가 …

사람 중심인가? 직무 중심인가? 더 보기 »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Scroll to Top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