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인재 제도 도입하기 2
[핵심인재 선발의 기준은 어떤 항목을 적용할 수 있을까] 어떤 항목이 되고 안되고 정하는 것과 동시에 해야 할 것이 있다. 바로 확보 가능한 데이터의 확인이다. 확보하지도 못하는 항목을 검증의 기준으로 선정해 놓는 것 만큼 허무한 사전 준비도 없을 것이다.. 핵심인재 선발에 적용해볼 수 있는 기준들은 다음과 같을 것이다. 수치적 판단을 위한 ‘정량 지표’ 정량지표의 모든 …
[핵심인재 선발의 기준은 어떤 항목을 적용할 수 있을까] 어떤 항목이 되고 안되고 정하는 것과 동시에 해야 할 것이 있다. 바로 확보 가능한 데이터의 확인이다. 확보하지도 못하는 항목을 검증의 기준으로 선정해 놓는 것 만큼 허무한 사전 준비도 없을 것이다.. 핵심인재 선발에 적용해볼 수 있는 기준들은 다음과 같을 것이다. 수치적 판단을 위한 ‘정량 지표’ 정량지표의 모든 …
핵심인재를 왜 선발하냐는 지에 대해서는 회사별로 모두 다른 이유가 있을 것이다. 수많은 이유들 중에서 가장 공통적이면서 간략한 답변은 Choice, Chance, Change가 될 수 있다. Choice 핵심 인재로 ‘선발’을 하고 Chance 핵심 인재에게 변화,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Change 핵심 인재가 회사와 개인에게 긍정적이고 극적인 ‘변화’를 만든다 핵심인재 선발을 이유는 경기의 전체적인 …
회사의 여러 기능 중에 ‘인사’ 부분만큼 보수적인 것도 없다. 가장 민감한 사람을 다루는 부서로서 경영진의 직속 부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탓이다. 그렇다 보니 혁신보다는 단기 대응에 치중해온 것이 사실이다. (실제로 전략 부서나 재무 부서에게 전략적 이슈에 있어 주도권을 뺏기거나 지휘 받는 현상도 적지 않다) 그렇다보니 최근 인사 관련 이슈 대응에서도 주도적인 모습이 아쉽다. 최근의 ‘조용한 퇴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