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한 멋진 일이 현실이 되려면 2 : 실현
← 이 이야기는 1편 <상상한 멋진 일이 현실이 되려면 1: 상상>에서 이어집니다. 문화를 만지는 이들이 모두 공감할 이야기는 이런 것 아닐까? 집요하게 그걸 파고드는 사람과 지지하고 공감할 줄 아는 동료, 그리고 그런 동료의 오히려 한술 더 뜨는 열정으로부터 이상함은 이상향이 되고, 새로운 트렌드가 되고, 모두에게 멋진 경험이 될 수 있다는, 그런 이야기. ✱ …
← 이 이야기는 1편 <상상한 멋진 일이 현실이 되려면 1: 상상>에서 이어집니다. 문화를 만지는 이들이 모두 공감할 이야기는 이런 것 아닐까? 집요하게 그걸 파고드는 사람과 지지하고 공감할 줄 아는 동료, 그리고 그런 동료의 오히려 한술 더 뜨는 열정으로부터 이상함은 이상향이 되고, 새로운 트렌드가 되고, 모두에게 멋진 경험이 될 수 있다는, 그런 이야기. ✱ …
회사에서 상상한 멋진 일이 현실이 되려면 조력자가 필요하다. 조력자는 나와 비슷한 생각을 하거나, 적어도 ‘쓸데없는 생각’이라며 의지를 꺾지 않을 사람이어야 한다. – 작가의 다른 글 <그 중에 그대를 만나> 中 – ✱ 문화의 시대 국내에서 ‘조직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훨씬 더 이전부터, 이미 글로벌 기업들은 그 필요를 인지하고 해당 분야 개발에 많은 …
현대 경영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성과관리 철학은 성과주의다. 즉 능력, 성과만큼 보상한다는 것이다. 과거 연공서열, 호봉과 같은 전통적인 보상 방식이 대세이던 기업 경영의 시절과 비교하면 지금은 다수가 ‘안 그런 회사도 있어?’라고 질문할 만큼 보편화된 철학과 방법론이기도 하다. 전통적인 성과주의 시스템 내의 보상 프로그램의 핵심은 인센티브다. 성과 혹은 능력에 비례한 만큼 보상을 지급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