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k, share, and engage
with the #인살롱 community
#HR소식 #HR교류
평가보상에 대한 궁금한 사항!!
작성자
ollie
작성일
2020-08-12 14:26
조회
2213
안녕하세요, HRD 4년차로 접어드는 인사교육팀 담당자입니다.
성과보상에 관하여 궁금한 사항이 있어서 글을 남깁니다. 시니어 인사쟁이분들 아시는대로 답변 달아주시면 업무에 많은 도움이 될거 같아요.
평가 적용대상자 지정 > 평가실시 목적 결정 > 평가자 구성 > 평가요소 및 질문지 작성 > 평가 척도 설정
각 과정을 거쳐 다면평가를 진행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도 엑셀을 통해 모든 자료입력을 한 상태입니다.
문제는 평가자 교육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피평가자를 상대로 누구는 관대화 경향을 보이며, 누군가는 엄격화 경향을 보이는 부분이 있어 신뢰성에 대해 의심이 됩니다.
그래서, 저는 평균과 분산,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신뢰구간 99% 만을 신뢰하는 것으로 하고, 평균의 하위구간, 상위구간의 점수를 제외하고 피평가자에 대한 평균을 내어 성과평가를 진행하였습니다. 조금 더 공정한 평가를 위해 평가결과를 조정하는 절차가 필요할 것 같은데, 조정절차는 어떻게 실시해야 할까요?
다른 회사에서는 척도에 따라 산출된 점수들에 대해서 어떻게 신뢰도를 높이는지 궁금합니다.
성과보상에 관하여 궁금한 사항이 있어서 글을 남깁니다. 시니어 인사쟁이분들 아시는대로 답변 달아주시면 업무에 많은 도움이 될거 같아요.
평가 적용대상자 지정 > 평가실시 목적 결정 > 평가자 구성 > 평가요소 및 질문지 작성 > 평가 척도 설정
각 과정을 거쳐 다면평가를 진행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도 엑셀을 통해 모든 자료입력을 한 상태입니다.
문제는 평가자 교육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피평가자를 상대로 누구는 관대화 경향을 보이며, 누군가는 엄격화 경향을 보이는 부분이 있어 신뢰성에 대해 의심이 됩니다.
그래서, 저는 평균과 분산,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신뢰구간 99% 만을 신뢰하는 것으로 하고, 평균의 하위구간, 상위구간의 점수를 제외하고 피평가자에 대한 평균을 내어 성과평가를 진행하였습니다. 조금 더 공정한 평가를 위해 평가결과를 조정하는 절차가 필요할 것 같은데, 조정절차는 어떻게 실시해야 할까요?
다른 회사에서는 척도에 따라 산출된 점수들에 대해서 어떻게 신뢰도를 높이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평가 공정성은 어느 회사에서나 가장 어려운 부분인것 같습니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통계적인 산출을 하는 것도 좋지만 평가는 어쨌든 사람에 대한 일인지라 수치적으로만 접근하기 보다는 조직장들의 calibration 즉, 조정 세션을 통해 함께 논의하면서 평가의 기준점 자체를 맞추어가는 것도 도움이 되는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