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k, share, and engage with the #인살롱 community
#HR소식 #HR교류

우리 조직에 성과관리 문화를 제대로 만들고 싶다면?

작성자
dwhale_clap
작성일
2023-05-12 15:08
조회
178
성과관리의 5가지 핵심 활동들

clap, 클랩, 성과관리, 상시성과관리, 스타트업 HR, 성과관리 문화, CLAP, 1on1, 원온원

3분만 투자하면 아래 내용을 알 수 있어요!
✔️ 성과관리의 의미를 알 수 있어요.
✔️ 성과관리 문화의 정착에 실패하게 되는 이유를 알 수 있어요.
✔️ 성과관리의 핵심 요소를 알 수 있어요.

 

성과관리 = 평가? 성과관리의 진정한 의미

급격히 구성원의 숫자가 증가한 조직들의 공통적인 고민은 HR 제도의 수립입니다. 구성원이 적을 때에는 자주 대화하며 회사의 목표, 비전에 대한 공통된 이해를 가질 수 있었고, 각 구성원의 평가에 대해 대표 혹은 C레벨들이 충분히 컨트롤할 수 있기에 별다른 HR 제도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합니다. 그러나 회사의 규모가 커져 구성원이 증가하며 서로의 이름을 외우기 힘들어질 즈음, 전체 구성원을 경영진이 개별면담하여 평가를 결정하는 것이 어렵게 느껴지며 표준화되고 규격화된 HR의 도입을 검토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때 가장 많이 듣게 되는 것이 바로 ‘성과관리(Performance Management)’라는 용어입니다.

clap, 클랩, 성과관리, 상시성과관리, 스타트업 HR, 성과관리 문화, CLAP, 성과관리 정의, 성과관리란

규격화된 평가 세팅을 통해 경영진에게만 부여되어 있던 ‘평가’ 업무를 중간관리자에게 위임하고자 하는 시점에 ‘성과관리’라는 단어를 접하기에 많은 분들이 성과관리는 곧 평가라는 인식을 가지는데요, 이는 잘못된 인식입니다. 성과관리는 단어에서 알 수 있듯 성과에 대한 관리를 의미하며 더 좋은 성과(performance)를 낼 수 있도록 그 과정을 관리(management)하는 것입니다.

성과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활동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성과가 무엇인지를 정의하고 성과를 향해 달려나아가는 여정에서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 그리고 성과의 결과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것들을 포함합니다. 이 중 마지막 단계인 ‘성과의 결과에 대한 이야기’가 바로 평가에 해당되는데요, 이처럼 평가는 성과관리의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하나의 단계에 불과합니다.

 

성과관리가 단순한 평가제도의 도입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더라도, 성과관리를 제대로 운영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전문을 읽고 싶다면 >>  https://www.clap.company/u/_gis9s0

 
전체 0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Close Bitnami banner
Bitna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