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tter HR 3 : 위기를 극복하는 인사담당자

신규기업 추천하면 60만원!

추천인과 신규 가입자 양쪽에 30만원씩 최대 60만원 지급

신규기업 추천하면 60만원!

추천인과 신규 가입자 양쪽에 30만원씩 최대 60만원 지급

 

최근 은행들의 연이은 파산과 뱅크런, 투자 건수와 금액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상황속에서 스타트업들은 크고 작은 위기들을 겪고 있습니다. 특히 성장과 미래가치를 바탕으로 성장하던 테크 기업들은 Layoff까지 이어지며 생존을 위한 치열한 싸움을 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기업과 인사담당자가 할 수 있는 노력들에 대해 생각하던 중 이를 공유하기 위해 Better HR 3편의 주제로 정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내용에서는 각 방법들에 대한 방법과 설명들로 구성하여 참고 자료로 사용하실 수 있도록 작성해보았습니다.

Statista / Layoffs.fyi

 

기업이 어려울 때 할 수 있는 방법

기업은 전체적인 비즈니스의 재검토 및 조정가능한 부분과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기업이 어려울 때는 내부적인 문제점과 어려움을 먼저 측정하고 개선한 뒤, 외부 환경에서 자원/자금을 조달할 방법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1. BM(비즈니스 모델) 재검토
    기존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BM을 재검토하여,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불어 사업/시장 다각화를 검토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을 모색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BMC(Business Model Canvas)를 그리고, 현재 비즈니스에서 Bottle Neck이 발생하고 있는 지점/결핍된 지점을 파악하여 Trouble Shooting 하는 방법을 검토해볼 수 있습니다.
  2. 비용 절감 / 자금조달
    운영비 절감은 투자가 막힌 스타트업이 생존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비즈니스 운영에 필요한 비용만 적정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체적인 비용과 자금에 대한 리뷰를 통해 Essential과 Additional을 구분하고, Additional 중 전략적으로 남기기 위한 것들을 검토합니다. ****추가로 대출, 창업 지원금, 시/정부 지원 등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 투자자나 신규 투자자와의 협상을 통해 추가적인 자금을 조달할 수도 있습니다. IR 담당자를 채용하거나, 전문적인 Finantial Specialist를 채용함으로써 오히려 투자 유치 역량을 내부에 확보하는 방법도 검토해볼 수 있습니다.
  3. 비즈니스 파트너십 구축
    파트너십을 통해 기존 제품/서비스를 확장하거나,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출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이 과정에서 Key Partners를 판단하고 관계형성에 힘을 쏟을 수 있습니다.
  4. 고용 조정
    필수 인력만을 유지하고, 불필요한 인력을 감축시킴으로써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조직의 우선순위와 비즈니스 목표를 고려하여, 인력 조정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 이 과정에서는 생존자 증후군(Survivor Syndrome)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에게 공정하고 참여 가능한 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보 투명성을 제공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공유함으로써 이를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역량 개발 기회를 제공하고 새로운 프로젝트나 업무를 기존 인원들에게 배치함으로써 완화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5. 기존 고객 유지 및 신규 고객 확보
    기존 고객에 대한 서비스 품질 향상이나 프로모션 등의 방법으로 기존 고객을 유지하고, 신규 고객을 유치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마케팅 전략을 재검토하고, 고객의 피드백을 수집하여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타벅스의 하워드 슐츠는 위기의 스타벅스를 구하기 위해 5천여통의 메일을 고객으로부터 받았고, 커피의 품질이 일정하지 않고, 바리스타의 기술력이 문제가 되는 것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지점들의 영업을 일시 중지하고 개선하기 위한 활동을 하여 다시 스타벅스를 정상 궤도로 올려놓는 데 성공합니다.
  6. 재무 상황 모니터링
    재무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현금 흐름과 예산을 관리하고, 비즈니스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정기적인 회계 감사와 재무 보고서 작성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인사담당자가 할 수 있는 것
기업차원에서 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인사담당자는 내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HR Triad 모형 기준으로 의도된(Intended)영역에서의 책임을 하는 담당자로써 다양한 방법들을 파악하고 제안함으로써 경영진들이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1. 인력 파악 및 조정
    인사담당자는 내부 인력 파악 및 재배치를 통해 인력 불균형을 파악하고, 필요한 분야에 인력을 집중적 배치하여, 효율적인 업무 진행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2. 유연한 인력 운용
    기업이 어려울 때는 일시적으로 인력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유연한 인력 운용을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유연한 인력 운용은 비정규직, 계약직, 인턴 등의 일시적인 인력 채용을 통해 인력 부족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혹은 시간을 일부만 사용하도록 하는 기존 구성원의 파트타임, 직무 조정, 근무형태 조정 등을 검토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력의 효율적인 방법에 대해 기업에 제안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Offshoring과 Outsourcing을 검토해볼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특정 업무의 경우 내재화 보다는 단순 오퍼레이션의 영역에서 멈추는 부분들은 외부에 맡기는 방식으로 업무를 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Nike의 경우 자체 생산 공장이 없으며, 마케팅을 제외한 다른 영역들은 아웃소싱을 주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3. 인재 스카웃
    기업이 어려울 때는 경쟁 업체에서 인재를 스카우트하거나, 새로운 채용 채널을 찾아 인재를 탐색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위기를 돌파할 수 있는 역량있는 인재를 영입할 수 있습니다.
  4. 내부 이동 및 직무 확장
    신규 채용보다 기존 직원의 역량을 확장하거나, 내부 이동을 유도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이때 교육 및 훈련 등을 통해 역량을 강화하고, 새로운 직무를 맡게 함으로써,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5. 업무 프로세스 개선
    기업이 어려울 때는 ‘인력의 부족’이 아닌 ‘업무 효율성’이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직도 일종의 생명체로 보았을 때 내부에서 정체, 부족, 공백이 있거나 비효율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들어 100명의 인력을 채용했을 때 생산성이 100이라고 하면, 200명을 채용해도 100에서 크게 생산성이 높아지지 않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문제가 되는 부분을 개선함으로써, 기업 내 인력의 업무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불필요한 것의 제거 – 비효율의 감소 – 창의적이고 도움되는 업무의 생성 – 생산성 높은 부분의 향상/증가의 순서로 업무를 개선해나갈 수 있습니다. 현대의 업무는 협업이 많고, 특히 개발조직과 같은 곳들은 커뮤니케이션 리소스가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정보공유의 방식과 커뮤니케이션 방식 크게 2가지의 관점에서 점검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6. 신속하고 효율적인 채용 프로세스 구축
    채용담당자는 효율적인 채용절차를 구축함으로써, 인력 채용 과정을 단축하고, 인력 확보를 빠르게 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 내 업무의 지연을 방지하며, 경쟁 업체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7. 인력 파견
    인력 부족 문제가 장기화되거나, 기업의 전략적 목표에 부합하는 전문적인 인력이 필요할 때는 인력 파견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필요한 인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인력 부족 문제를 대응할 수 있습니다.
  8. 기업 브랜딩 개선
    기업 브랜딩/채용브랜딩 개선은 채용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인력 부족 상황에서 기업의 이미지가 낮아지면 채용경쟁력이 감소하고, 인재들의 지원 의지도 낮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채용담당자는 기업의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글,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기업 브랜딩 활동을 할 수 있으며 블로그, 링크드인 포스팅, 인스타그램 활동, 페이스북, 오픈채팅 등 다양한 루트를 통한 네트워킹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9. 기술 활용
    SNS, 인공지능(Chat GPT), 자동화 등의 기술적인 자원을 활용하여 더 많은 인재를 모집하고, 적절한 채용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업무 효율성을 재고할 수 있고, 이런 기술들을 도입을 내부적으로 전파함으로써 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전체적인 업무 공유와 커뮤니케이션 효율에 있어서 기술 도입을 검토해볼 수 있습니다.
    특히 초기 기업들은 비효율에 의한 손실/손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만약 우리 기업들이 커뮤니케이션/업무 협업 방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우리 상황에 맞는 툴을 선택하고 (노션, 컨플루언스/지라, 슬랙, Swit, Airtable 등) 이를 일괄적으로 사용하도록 가이드를 제공하고, 일원화 하는 노력을 통해 자리잡도록 할 수 있습니다.
  10. 전략 수립
    인사담당자는 수요/공급의 밸런싱, 인력 유지(리텐션) 및 개발, 인력 파견 및 아웃소싱, 인력활용 방법의 다양화/유연화 등의 전략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인력 부족 상황에서도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임시와 지속을 검토하고 Core와 Sub Function을 구분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최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도 끊임없이 발전하는 HR을 통해 전략적인 인사를 수행하고, 목표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을 다양하게 고민하는 Business Partner로 인사담당자는 발전해나가고 있습니다.

이 시기에도 노력을 통해 기업을 위기에서 구하고, 위대한 기업으로 향하도록 돕는 인사담당자가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위기의 상황에서는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불필요한 자원 소비를 막는 Resource Based View가 있을 것이지만 이 과정에서도 잊지말아야할 것은 기업의 핵심 성장 동력은 인재들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투명하고 합리적인 절차를 바탕으로 구성원들과 소통하고 발전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고민해야 합니다.

 

GE의 Jack Welch는 저서 Winning에서 자기 시간의 90%를 연수원에서 보내며 젊은 중간관리자를 만나고 그들이 미래라는 생각을 했다고 합니다.

리더들 또한 결국 사람과 관리자들 모두가 함께 합심하여 나갈 수 있도록 길잡이가 되주어야 한다는 점을 위기의 순간일 수록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의 위기 극복과, 위대한 여정을 응원합니다.

 

 

Colorverse 공식사이트 / 채용 사이트

 Linkedin

 Instagram

 

공유하기

채용에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면

빠르고 정확한 프리랜서 매칭, 원티드긱스로 오세요!

보러가기
Subscribe
Notify of
0 개의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인살롱 인기글

문과출신 HRDer의 Data Scientist 과정 도전기

SK그룹 AI/DT 교육 중 하나인 CDS(Citizen Data Scientist) 과정은 ‘수학 또는 통계에 대한 깊은 지식 없이 자신의 전문 지식에 데이터

40년 된 회사에서 조직문화 만들기

좋은 문화 만들기는 어렵다. 만약 그게 40년이 넘은 회사라면 더더욱. 그리고 나는 그 회사에서 좋은 문화 만들기를 업으로 삼고 있다.

학습 문화를 만드는 방법

많은 리더분들과 동료 조직문화 담당자들은 다음을 고민합니다. ‘지속적인 회사의 성장을 위해, 학습 문화를 만들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 저 역시도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