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문화 스터디 발제를 준비하며

HR솔루션 원티드스페이스

인사 업무 시 필요한 모든 기능은 여기에!

HR솔루션 원티드스페이스

인사 업무 시 필요한 모든 기능은 여기에!

안녕하세요.

HR 앰버서더 7기 정하빈 입니다.

2기 모집 때부터 5번의 지원 끝에 선발되어 설레는 마음으로 발대식에 참석했었는데 벌써 활동도 마무리되어가고 있습니다.

스터디, 멘토링, 아티클까지 전부 처음 해보는 활동들이라 막막하기만 했었는데 끝나간다고 하니 아쉬울 따름입니다.

저의 첫 아티클은 위에서 언급한 활동들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스터디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직접 발제를 위해 준비했던 과정들을 소개하면서 다음 기수 앰버서더 분들이 스터디를 처음 준비할 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서 글을 써보려 합니다.

 

스터디의 경우 HR과 관련된 주제인 것을 제외하면 정해진 틀이 없었고 제가 저희 조 첫 스터디 발제자였기 때문에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막막했습니다.

저희 조의 주제는 조직문화의 A to Z 라는 주제로 조원 모두 현재 재직중인 조직의 문화를 개선해 나가고 싶어하는 의지가 강하여 조직문화의 기본부터 파헤쳐보자는 취지로 조직문화를 주제로 정하게 되었습니다.

오프라인 6회차 스터디 중 저는 첫 발제자로 “대 이직 시대, 조직문화가 왜 중요할까?” 라는 대주제와 ‘조직문화의 정의와 개념’, ‘조직문화 트렌드’ 두가지 소주제를 담당했습니다. (스터디 세부주제는 조원분들과 같이 정하였습니다.)

저는 파워J라서 어떤 일을 시작하기 전에 큰 틀을 먼저 잡고 시작하는 편인데 스터디도 목차 먼저 작성하였습니다. 목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대 이직 시대, 조직문화가 왜 필요할까?

  1. 조직문화의 정의와 개념

–  참고자료 : 조직문화 통찰 (김성준)

  • 책에서 설명하고 있는 조직문화의 정의를 학자별로 정리한 부분 설명.
  • 학자들이 정의한 조직문화에서 공통/중요 키워드 도출 후 한 문장으로 최종정리.
  • 한국기업의 조직문화
  • 조직문화가 무엇인지 간단하게 소개하는 영상을 본 후 이 영상을 통하여 왜 조직문화가 중요한지 각자 의견 도출_대 이직 시대 라는 키워드에 맞게. (김성준 교수 영상)
  1. 조직문화 트랜드
  • 수직적/수평적 문화 특징 및 장단점 파악 (차이나는클래스 영상/휴먼솔루션 그룹 영상)
  • 대기업/스타트업 조직문화 파악 (대기업은 현재 직급체계개편, 거점오피스 확대 등 복지측면에서의 변화를 통해 조직문화를 개선하려고 노력중 / 대표 스타트업 토스,배민 영상)
  • 2023 HR트랜드 안에서 조직문화 내용 살펴보기 : 각기 다른 플랫폼에서 발표한 HR트랜드는 조금 차이는 있지만 조직문화와 관련된 공통 키워드 소개. (어떤 플랫폼들을 소개할지 정해야함! – 최소 3군데) > 월간인사관리 (대퇴사시대 키워드소개) / 원티드 2023 HR트랜드 중 조직문화 아티클 소개 / 시프티 2023 HR트랜드 중 직원경험)
  • 각자 생각하는 2023 조직문화 트랜드 논의해보기

스터디 목차를 구성할 때 가장 많은 도움을 받은 자료는 조직문화 관련 도서로 정말 유명한 ‘조직문화 통찰’ 이라는 도서입니다. (스터디 참고자료로 책만큼 좋은 자료는 없는 것 같아요!) 책이 생각보다 양이 많아서 모든 내용을 다루지는 못하였고 스터디 주제와 연관 있는 부분만 다루었습니다. 참고자료는 책 이외에도 유튜브 영상, 아티클을 활용했습니다.

미리 구성한 목차를 토대로 PPT 목차를 정하고 주로 책을 활용한 북 스터디를 진행할 계획이었기 때문에 책에서 꼭 언급하고 싶은 키워드나 내용들을 PPT에 담았습니다. 발제를 진행할 때 꼭 PPT가 있어야 하는건 아니지만 발제자 입장에서는 PPT를 이용하는게 진행하기 수월했고 저희 조원분들은 모두 PPT를 이용하였습니다. PPT는 대부분 책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였고 각 페이지마다 참고하면 좋을 영상 및 기사자료들을 첨부하였습니다. 발표 시간 상 오프라인에서 다같이 보진 못하고 사전에 공유하여 미리 보고 스터디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스터디를 진행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정답이 없고 자유롭게 진행 할 수 있지만 처음에는 어떻게 시작해야 할 지 막막하기만 했습니다. 고민을 정말 많이 했는데 가장 접근하기 쉬운 책을 활용하여 시작하였고 그 이후에는 무한 검색의 반복이었던 것 같습니다.(양질의 자료를 찾는다는 건 항상 어려운 것 같아요..) 자료를 찾고 스터디를 준비하면서 새롭게 알게 된 정보들이 정말 많았습니다. 그동안 제가 너무 학습을 멀리 했던 것 같아 반성하는 시간이기도 했습니다..

스터디는 사실 저 혼자만 하는게 아니라 조원분들과 다 같이 완성 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발제 할 때도 조원분들 생각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는데 덕분에 첫 오프라인 스터디가 마무리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부족했던 첫 스터디를 잘 마무리할 수 있게 도와주신 7기 R조 조원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해드립니다. 🙂

첫 아티클은 스터디 준비과정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스터디 준비하실 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저는 다음 아티클에서 찾아뵙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공유하기

원티드 HR 트렌드 리포트

‘무료’로 다운로드 받으세요!

보러가기
Subscribe
Notify of
0 개의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인살롱 인기글

‘너 T야?’가 ‘넌 T구나’가 되는 순간

 “너 T야?”   최근 들어 심심찮게 들리는 말입니다. 이 말은 상대방과의 대화 중 그 사람의 상황과 감정에 공감하기보다는(MBTI ‘F’유형) 이성적으로

HR Master Class : OKR, 이제는 실행할 때입니다.

단순한 개념 이해를 넘어 ‘진짜 실행’을 위해 OKR에 담을 목표를 어떻게 수립하는지, 도전적인 OKR 수립/표현법이 무엇인지, 그리고 OKR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그래서 누굴 채용하라는 겁니까? – 하이어링 매니저와 대화하기

채용 담당자가 가장 많이, 그리고 자주 대화를 해야 하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저는 하이어링 매니저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다른 이해관계자도 중요합니다.)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Scroll to Top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