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잃은 우리 조직에 북극성 띄우기 05 : 구성원의 핵심 가치 찾기

신규기업 추천하면 60만원!

추천인과 신규 가입자 양쪽에 30만원씩 최대 60만원 지급

단기 알바 한 번만 채용해도

급구에서 인건비 최대 2천만원 지원해 드려요!

메디쿼터스에서 운영하는 목적 경험 프로그램 "체인지 에이전트(CA)" 2기 2,3회의 일부 내용입니다.
나의 핵심 가치를 안다는 것

최근에 점심을 먹다가 “요즘 나에 대해서 돌아본 적이 없다“라는 동료의 말을 듣게 되었어요.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은 어떠세요? 사실 이 글을 쓰는 저조차도 바쁜 일과 중에 여유를 갖는 게 쉽지 않더라고요. 

2, 3회에 참여한 에이전트들은 두 가지 활동을 통해 내 삶의 기준이 되는 핵심 가치를 알아보았어요. 이를 아는 것은 생계가 달린 문제는 아니지만 일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영향력 있는 사람이 될 기회라고 생각해요. 

프로그램에 활용되었던 몇 가지 질문과 저의 숨은 노력 그리고 변화 사례를 공유드려요.

활동 1. 자서전 작성으로 '나를 통해 나를' 알아보기
자서전 작성 중인 모습(CA 2회)

1) 내 삶이 완전히 변했다고 느낀 결정적 사건은 무엇인가요? (위 사건이 없다면) 나에게 가장 의미있고(행복하거나 최악이었던) 구체적으로 기억에 남는 과거의 사건은 무엇인가요?

2) 위 사건을 겪으며 단련된 나의 재능은 무엇인가요? 가치로 표현하자면요?

활동 2. 닮고 싶은, 부딪히는 사람의 특징을 분석하여 '타인을 통해 나를' 알아보기
특징 분석 중인 모습(CA 3회)
 
1) 지금의 내가 되기 까지 선한 영향을 주었던 사람, 혹은 닮고 싶은 사람을 총 3명 정도 생각해 보세요. 나는 이들을 왜 좋아할까요? 이들의 공통점을 가치로 표현하자면 무엇일까요?

2) 직장/가정/생활 등에서 유달리 말이 안 통하는 사람을 만나기도 합니다. 나는 이들이 왜 불편할까요? 이들의 공통점을 정반대 가치로 표현하자면 무엇일까요?
핵심 가치 예시

감사 / 창의 / 유연성 / 창의성 / 결의 / 봉사 / 이상 / 책임감 / 겸손 / 사랑 / 이해 / 청결 / 관용 / 사려깊음

인내 / 초연 / 근면 / 상냥함 / 인정 / 충직 / 기쁨 / 소신 / 자율 / 친절 / 기지 / 신뢰 / 절도 / 탁월함 / 끈기

신용 / 정돈 / 평온함 / 너그러움 / 열정 / 정의로움 / 한결같음 / 도움 / 예의 / 정직 / 헌신 / 명예 / 용기

존중 / 협동 / 목적의식 / 용서 / 중용 / 화합 / 믿음직함 / 우의 / 진실함 / 확신

참여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었던 숨은 노력

앞으로 인살롱에서는 참여자의 프로그램 만족도를 높일 수 있었던 제 노력들을 공유드리고자 해요. 처음으로 알려드릴 것은 ‘참여자의 변화도를 측정하는 질문’입니다. 

CA는 기수당 총 9회의 미팅을 진행하고 있고, 매 회 마무리 직전에 네 가지 질문에 대한 점수와 이유를 작성하도록 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최선의 답변 방향성도 미리 제시합니다. 그다음 점수가 가장 낮은 항목을 보완할 사내 행동 다짐을 도출하도록 하고, 일주일 뒤 미팅에서 그간의 변화를 공유하도록 합니다. 

유의할 것은 점수나 결과는 피벗팅(pivoting)을 위한 수단일 뿐, 목적 그 자체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참여자 본인의 진정한 변화는 본인만이 알 수 있기에, 총체적인 방향을 볼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활용됩니다.

1) 앞으로 나의 삶은 긍정적으로 변화할 것이라 믿나요? / 점수와 이유

2) 오늘 모임에서 사회에 기여하는 일의 목적을 찾고자 최선을 다하였나요? / 점수와 이유

3) 지난 한 주 나의 가치로 더 좋은 성과를 내기 위해 최선을 다하였나요? / 점수와 이유

4) 지난 한 주 동료를 도우며 프로그램의 핵심가치인 이타심을 습관화하고자 최선을 다하였나요? / 점수와 이유

담당자의 변화 사례
Connecting the dots - Steve Jobs
스티브 잡스는 “Connecting the dots(인생에 쓸모없는 우연은 없다)“라는 말로 현재는 ‘점’에 불과한 사건들이 의미 있는 ‘연결고리’를 만나 미래에 생각지도 못한 결과를 낳게 된다고 했어요.
 

저 또한 CA 프로그램과 레퍼런스 스터디로 과거를 돌아보다가 큰 고난이 결국 나의 큰 강점이 되었다는 것을 발견했는데요. 이렇게 찾아낸 저의 핵심 가치를 고려하여 저만이 이 회사에서 잘할 수 있는 영역을 정의할 수 있게 되었어요. 

현재에는 어떠한 일을 맡더라도 선한 목적이 돋보이도록 운영하고(소명감), 이곳에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는 통로를 만들며(공공선), 퇴근 후의 삶에서 일에 대한 답을 찾고 있습니다.(통찰력)

가까운 미래에는 동료들이 일의 의미를 찾고 회사를 통해 인격적으로 성장하시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 또한 매일 하루가 아닌 인생을 살기를 진심으로 응원하며, 다음 글에서는 일의 목적을 정의하고 점검하는 방법을 공유드리겠습니다 🙂

공유하기

신규기업 추천하면 60만원!

추천인과 신규 가입자 양쪽에 30만원씩 최대 60만원 지급

보러가기
Subscribe
Notify of
0 개의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인살롱 인기글

팀원이 보는, 유능한 리더가 소통하는 법 (Feat. 심리적 안전감)

보상 수준, 회사의 비전, 직무 만족도 등 직원이 조직을 떠나는 사유는 다양하지만, 퇴사를 고민하게 하는 가장 직접적인 이유는 ‘리더’의 문제일

[매일인사고민] 갑작스럽게 팀장이 되어버린 당신에게

  갑작스럽게 팀장이 되어버린 당신에게 2021년 한 해, 한국에서도 갑작스럽게 젊은 리더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드라마 속에서 보던 젊은 대표들이 실제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들고 싶은 조직문화담당자가 ‘실제로’ 하는 일

“좋은 조직 문화를 만들고 싶어요. 어떻게 하면 되나요?” 라는 질문의 어려움   제가 조직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조직문화담당자로서 지내온지도 최소 10년이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