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는 소통을 위해 거들 뿐 (Feat.조직문화 진단을 바라보다)

원티드 HR 트렌드 리포트

‘무료’로 다운로드 받으세요!

회사에 딱 맞는 오피스, 고민이세요?

퍼시스 커뮤니티 오피스 투어로 최신 트렌드를 알아보세요!

어느 마을에 사이 좋은 형제가 살고 있었어요. 그 형제에게는 누구에게도 없는 보물이 하나씩 있었지요. 첫째에게는 어디든지 원하는 곳을 다 볼 수 있는 망원경이 있었고, 둘째에게는 어디든지 원하는 곳을 갈 수 있는 양탄자가 있었으며, 막내에게는 먹으면 어떤 병이든 낫게 해주는 사과가 있었지요.

그러던 어느날, 첫째가 동생들에게 말했어요. “동생들아 내가 망원경으로 보니 저쪽 먼 나라 공주님께서 불치병에 걸려서 명의를 찾고 있다는구나. 그래서 누구라도 공주를 낫게 해주는 사람을 공주와 결혼을 시켜주고 큰 돈을 준대.  아파서 저렇게 고생하고 있는 공주님을 위해 우리가 가야 하지 않겠니?” 그랬더니 동생들은 흔쾌히 응하였고, 둘째는 바로 양탄자를 준비했어요. 그리고 그 나라에 도착한 형제는 막내가 가지고 있던 사과를 공주에게 먹여서 공주님을 낫게 해주었지요. 그런데 문제는 그 다음이었어요.

첫째는 내가 먼저 공주가 그런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다는 걸 발견했으니 내 공이 가장 크다고 했고, 둘째는 내 양탄자가 아니었으면 어떻게 이렇게 먼 나라까지 올 수 있었느냐고 했고, 막내는 내 사과가 아니었으면 공주가 낫지 못 했을 거라고 했지요.

 

 

우리 사회에서 ‘헌신’에 대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인용하고 있는 천일야화 속 이야기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이야기의 결말은 자기가 가진 것이 없어질 것을 알고도 공주를 위해 기꺼이 사과를 내어준 막내와 공주님이 결혼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이야기를 아이들에게 들려준 후 결말은 들려주지 않고 이런 질문을 던져봤다.

“얘들아, 이들 중 누가 공주님과 결혼을 해야할까?”

그러자 6세 아이가 이런 대답을 한다.

“결혼은 서로 행복하기 위해서 하는 건데, 왜 공주님의 의견은 안 물어봐요?”

순간 멍해진다. 이게 우문현답인가 하는 생각도 든다.

 

필자는 현업에서 10여년간 조직 내 소통 업무를 담당해왔다. 그것을 위해 워크숍, 캠페인, 행사, 진단, 교육 등 많은 업무를 경험했다. 그러면서 깨달은 것 하나. 소통이란 사전적인 의미로 ‘뜻이 서로 통하여 오해가 없음’ 이지만 조직에서 행하는 소통에는 ‘서로’가 빠져있다는 것.

 

우리네 조직에서는 직원들에게 ‘상호 성장’이라는 달콤한 열매를 아니 달콤한 열매 이미지를 내보인다. 그리고 ‘함께’ 잘 해보자고 말한다. 그런데 서로 성장하자고 하면서 구성원들의 마음이나 인식은 어느 정도나 귀하게 여기고 있을까? 요즘은 그나마 많은 회사에서 구성원들의 마음과 인식을 알고자 조직문화 진단이라는 수단을 택한다.

 

아주대학교 김경일 교수의 강연 중 이런 말이 있었다. “19세기 들어오면서 자연과학이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합니다. 자연 과학이 발전했다는 것은 이 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현상을 숫자라는 단일 표기체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는 거죠. 그러던 중 철학자 중 일부가 ‘사람의 마음도 숫자로 표현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을 합니다.”

 

조직문화 진단은 직원들의 마음과 인식을 숫자라는 단일 표기체로 표현한 데이터를 얻는 것이다. 그런데 이게 정말로 신뢰할 수 있는 결과일까? 내가 생각하는 5점의 강도와 다른 사람이 생각하는 5점 정도의 강도가 같지 않은데 표기하는 수단만 같은 게 어떤 의미를 줄 수 있을까?

 

결국 숫자는 편의를 위해 취하는 수단일 뿐 그것 자체가 의미가 되기는 어렵다. 응급실에서도 환자가 느끼는 통증이 1~10중 어느 정도에 해당하는지 묻고 난 후 정밀 검사를 또 하지 않던가? 진정으로 마음을 알고자 한다면, 목소리를 듣고 싶다면 숫자라는 표기체를 기반으로 알아가기 위한 활동이 필요할 것이다.

 

요즘 비대면이라는 새로운 업무 환경을 맞이하여소통이라는 단어가 다시 떠오르고 있다. 이에 필자는 조직에서 행하는 소통에서로라는 단어를 호출하여 구성원들의 마음과 인식을 알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해볼 때가 아닌가 생각해본다.

 

지성이면 감천이라 하지 않던가.

공유하기

기업 브랜딩이 고민된다면?

원티드, 아웃스탠딩과 함께해보세요

보러가기
Subscribe
Notify of
8 개의 댓글
Newest
Oldest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송창용
필진
송창용
3 년 전

좋은글 잘봤습니다~^^

jiny101
외부필진
jiny101
3 년 전

글 안의 글로 또 다른 읽는 기쁨을 주시네요. 다음이 또 기대됩니다! ^^

이선민
이선민
3 년 전

문화업무가 회사와 직원의 중간다리역할을 잘 해줘야 하는 걸 항상 느끼는데, 넘 공감가는 글이었습니다!

yeosumiso
멤버
yeosumiso
3 년 전

‘서로’!!!!!!!!!!!

lovelana727
멤버
lovelana727
3 년 전

일상에 지쳐서 나도 모르게 ‘서로’라는 단어를 요즘 잊고 사는건 아닌지,,,반성해봅니다..ㅎㅎ 좋은 글 감사합니다

Jo.Pro
멤버
Jo.Pro
3 년 전

잘 읽고 갑니다 ^^

nurano1
멤버
nurano1
3 년 전

체고

alica
필진
alica
3 년 전

선댓후독합니다=333 ㅋㅋ

인살롱 인기글

어떻게 구성원을 몰입하게 만들 수 있을까

대기업과 스타트업에 재직하면서 자발적 몰입은 성과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주위 동료들에게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조직문화에까지 영향을 줄 수

커리어 고민, 모여봐 들어봐 6 # 일의 재미를 잊은 그대에게

Q1. 내가 하고 있는 일을 ‘잘’하고 싶은데 내가 원래 했던 일과는 거리가 있어요. 이럴 땐 어떻게 해야할까요?   커리어 액셀러레이터로

HRer도 고민되는 본인의 경력개발, 스스로 해보기

직장인들의 조직 내 수명은 어느 정도일까? 오래 전 기사에서 ‘직장인이 체감하는 퇴직 나이는 51.7세’ 라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그럼,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Scroll to Top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