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지만 쌓이면 변한다 (feat. 야놀자 조직문화)

HR솔루션 원티드스페이스

인사 업무 시 필요한 모든 기능은 여기에!

완벽한 사무실 구하기, 스매치

빅데이터 기반으로 1분만에 최적의 사무실을 제안합니다.

하루가 다르게 늘어나는 구성원, 수시로 변하는 업무 환경.
조직문화는 한 번에 바뀌지 않는데, 어떻게 변화를 만들어갈 수 있을까?
아마 스타트업에서 일하는 조직문화 담당자라면 공감할 고민일 것이다.

2020년, 야놀자가 일하는 방식인 ‘Y-CODE’를 새롭게 만든 이유도 앞선 고민으로부터 시작됐다.
일하는 방식은 조직문화의 일부분이지만, 빠르게 성장해야하는 스타트업에서는 어쩌면 조직문화의 전부일지도 모른다. Y-CODE를 새롭게 정의하고 전파한 우리의 작은 경험이 같은 고민을 하고 있는 조직문화 담당자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

# 왜 Y-CODE를 만들었을까?
야놀자의 경우 Digital Transformation을 바탕으로 매년 85%씩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며 국내외 많은 회사들을 인수합병했다. 따라서 서로 다른 경험을 가진 구성원이 협업하기 위해서는 실제 업무에 빠르게 적용될 수 있는 일하는 방식이 필요했다. Culture&Grow팀은 (1) 직관적이고 (2) 변화에 유연한 구조로 (3) 업무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Y-CODE를 만들었다.

# Y-CODE 전파를 위한 작고 소중한 시도들

(1) Design: 어떻게 설계해야 할까?
Culture&Grow팀은 내재화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누구나 기억하기 쉽게 만드는 것이라 판단했기 때문에 기획 초기 단계에서부터 이 부분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래서 12가지 내용을 전부 외우고 있지 않아도 기호를 보면 충분히 유추할 수 있도록 만들었고, 실제 전파 당시 70%의 구성원이 4개의 기호와 3개의 CODE를 인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Everywhere: 어디까지 적용할 수 있을까?
물론 변화는 장기적으로 이루어지지만, 변화를 촉진하는 moment를 짧은 주기로 만들어 낼 수 있다.

– 오프라인: 개인, 업무 공간, 회의실, 출입문 등 어디서나 볼 수 있도록 배치 한다.
– 온라인: 그룹웨어뿐만 아니라 메신저 Slack 이모지를 만들어 업무 중 자연스럽게 노출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사내 홈페이지를 개설해 Y-CODE 관련 콘텐츠를 직접 제작해서 업로드하여 누구나 볼 수 있도록 오픈했다.
– HR제도와 연결: 전문가로서 차별화된 성과를 만들 수 있는 ‘생산성CODE Day’, 야놀자만의 성과 관리 방식인 ‘MY OKR’ 모두 Y-CODE를 기반으로 얼라인된 제도이다.

사실 플랫폼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일관된 T&M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것이다.
아무리 교육을 하고 싱크를 하더라도 개인마다 이해도, 기대치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영향력 있는 리더의 모든 공식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직접 컨설팅하여 일관된 T&M를 유지했다. 한 사람이라도 잘못 이해하고 있다면, 변화 물론 Y-CODE는 Culture&Grow팀이 누구보다 깊게 고민한다는 것을 경영진이 믿어줬기 때문에 가능했던 부분이다.

(3) Change Agent: 누가 전파해야 할까?
첫 번째 Change Agent는 조직문화 담당자인 Culture&Grow팀이다. 야놀자에서 Y-CODE를 가장 잘 아는 전문가라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직접 전파 세션도 진행했고, 여전히 Y-CODE와 관련된 모든 콘텐츠는 내부적으로 자체 개발하고 있다.
두 번째 Change Agents는 리더이다. 모든 변화는 리더로부터 시작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경영진과 직책자가 중요한 스폰서가 되어야 한다. 변화를 이끌어가고 촉진하는 주체를 리더로 설정하고, 각 조직의 레벨별 리더에게 순차적으로 전파해서 모든 리더들이 Y-CODE의 중요성을 공감하는 분위기를 전략적으로 형성했다.

(4) On-time: 가장 효과적인 때는 언제인가?
– 신규입사자는 1개월 이내에: Y-CODE전파의 우선순위 교육 대상자로 정하고 입사 1개월 이내에 Y-CODE를 인지하고 이해하기 위한 교육을 집중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 리더는 주기적으로: 조직별 Y-CODE Best Practice 및 관련 경험을 공유 워크숍을 진행해 Y-CODE가 잘 실천되고 있는지 스스로 점검해볼 수 있도록 했다. 특히 Y-CODE는 일을 더 잘하기 위한 방법이기 때문에,
– 조직별로는 자발적인 신청으로: 조직별로는 강제가 아닌 그들이 원할때 Y-CODE를 전파했다. 암기하는 내용 학습보다는 팀의 일하는 방식을 개선하는 콘텐츠(Data 기반의 Tool 활용)를 통해 Y-CODE를 전파했다.

Y-CODE를 내재화 하기 위해 Culture&Grow팀이 나아가야 할 길은 멀다. 하지만 확신할 수 있는 것은 야놀자는 앞으로 지금보다 더 좋은 회사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언젠가 야놀자처럼 토종 한국 기업이 글로벌로 진출하면서 어떻게 일하는 방식과 조직문화를 만들어 갔는지에 대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순간이 오길 바란다.

공유하기

기업 브랜딩이 고민된다면?

원티드, 아웃스탠딩과 함께해보세요

보러가기
Subscribe
Notify of
0 개의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인살롱 인기글

길 잃은 우리 조직에 북극성 띄우기 01 : 컬처덱 제작을 시작하게 된 계기

수신 : 부서마다 다른 분위기가 고민인 조직문화 담당자 험난한 경영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성과를 도출하는 기업들이 있다.  목적에 대한 강건한 믿음이

개발자 A씨의 퇴사 이야기

IT업계는 지금 이직 붐이 아닌가 싶습니다! 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이직을 준비하고 있고, 또 저희 회사로도 새로운 분들이 많이 들어오고 있는데요.

게임의 룰과 가이드: 평가와 보상

구성원들이 인사제도에 불만을 느끼고, 몰입하지 못하게 만드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이들의 몰입을 최대한 높이면서 평가, 보상 제도를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은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Scroll to Top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