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장에게 묻고 싶은 10가지 질문

조직문화 진단 무료 컨설팅(국비지원)

우리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현명한 선택!

신규기업 추천하면 60만원!

추천인과 신규 가입자 양쪽에 30만원씩 최대 60만원 지급

왜 우리는 악착 같지 않은가?
CEO가 급히 호출한다. 인사팀 홍팀장은 팀원에게 무슨 일 있냐 물으니 없다고 한다. 급히 다이어리를 들고 본부장에게 CEO가 호출해 올라가 본다고 하고 사장에게 갔다. 사장은 몹시 화가 난 상태였다.
팀장들에게 지난 주 책임경영을 하라고 그렇게 당부했건만, 경쟁사의 백화점 및 가두 판매에 1주일 동안 마켓쉐어가 10% 이상 하락했는데도 대책이 없다. 사장은 팀장 시절 1%만 하락해도 비상회의를 통해 대안을 마련해 매월 마켓쉐어를 향상시켜 왔는데, 최근 팀장들은 절박하지 않다고 걱정이 많다.
이런 정신상태와 자세로는 정글 같은 이 업계에서는 생존할 수 없다며, 1달 안에 팀장들이 상호 협력하며 악착 같이 물고 늘어지는 열정을 갖도록 안을 만들라고 한다.
그리고 50명의 팀장들을 전부 인터뷰 하여 팀장을 3유형(핵심팀장, 유지팀장, 해임팀장)으로 구분해 별도 보고하라고 한다. 알겠다고 인사는 하고 나왔지만, 해야할 일을 생각하니 답답해진다.
본부장에게 전하니 홍팀장이 알아서 하라고 한다. 팀원들은 팀장들 인터뷰해 유형을 정하라는 말에 기겁을 한다.

홍팀장은 50명의 팀장을 5개 그룹으로 나누고, 월~금요일 각 그룹별 워크숍을 외부 회의장을 빌려 실시하였다.
진행자, 교재, 강사가 없이 10명의 팀장이 해당 장소에 와서 주제에 대한 결론을 내고 결과물만 정리해 전송하면 되는 워크숍이었다. 결과를 받아 본 홍팀장은 오죽하면 CEO가 화를 내며 이런 악착 같이 만들라는 지시를 내렸는지 이해가 간다. 홍팀장은 CEO에게 1조 팀장 10명을 불러 크게 질책을 해 달라는 부탁을 하고 자리에 돌아왔다. 1조 팀장들이 사장에게 2시간 넘게 질책 받았다는 말이 빠르게 회자되면서 조별 토론은 밤 늦게까지 이어졌다. 마지막 5조의 결과물을 정리해 CEO에게 보고하며 이대로 하겠다고 하니 사장은 중단됨이 없이 지속적으로 점검하여 성과를 내라고 한다.

 

팀장 유형별 분류
50명의 팀장을 어떻게 3유형으로 분류하겠는가? 홍팀장은 팀장들의 3개년 평가를 기반으로 2:7:1의 비율로 팀장들을 구분하였다. 예상은 했지만, 상위 20%는 근속도 길고 본부내 영향력 있는 팀의 팀장들이었다.
하위 10%는 팀장 2년차 이하가 대부분이었다. 팀장 평가만으로 팀장 유형별 분류를 보고할 수 있는 상황이 안되었다. 왜 CEO가 전 팀장을 인터뷰하라고 했는가 알 수 있었다.
팀장 인터뷰는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2명의 외부 교수에 의해 진행하였다. 팀장의 인적사항 및 개인 정보는 전부 블라인드로 하고 1번부터 50번 번호를 부여하고 인터뷰를 진행하여 우수 2: 중간 7: 낮음 1의 비율로 팀장을 정리해 달라고 했다. 홍팀장은 3개년 고과 2:7:1의 대상과 외부 교수의 2:7:1의 대상을 상호 비교하여 보완하여 보고서를 작성할 생각이었다.

팀장 인터뷰는 팀장의 이름을 적은 종이를 팀원이 뽑은 순서대로 실시하였다.
모든 팀장에게 그 어떠한 정보를 주지 않고 각 50분씩 5일에 걸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진행은 팀원 2명이 담당하였고, 이들에게 그 어떠한 설명과 대답을 하지 말라고 신신당부했다.
홍팀장을 제외한 49명의 팀장 인터뷰가 실시되었다.

홍팀장은 2명의 외부교수와 인터뷰할 질문 10가지를 작성하였다.
① 회사의 비전 달성을 위해 회사가 추구해야 할 전략과 중점 과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② 비전 달성을 위해 팀장이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모습과 핵심역량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③ 팀과 팀간의 원활한 협조체제 구축의 저해요인과 개선 또는 강화해야 할 것은 무엇입니까?
④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해 저해요인과 개선 또는 강화해야 할 것은 무엇입니까?
⑤ 팀장으로 조직 장악을 위해 무엇이 더 강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
⑥ 팀의 생산성을 저해하는 요인은 무엇이며, 어떻게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
⑦ 수평적 조직문화를 가져가는데 저해 요인은 무엇이며 개선 방안은 무엇입니까?
⑧ 조직역량 강화를 위해 무엇이 개선 또는 강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
⑨ 팀원의 역량이 강화되기 위해 무엇이 개선 또는 강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
⑩ 팀의 성과창출에 저해 요인이 있다면 무엇이며 무엇이 개선 또는 강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까?

 

팀장은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팀장은 경영층과 팀원을 잇는 굳건한 허리 역할을 수행해야만 한다.
팀장이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은 성과창출이다. 회사는 친목 단체가 아니다.
지속적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성과 창출은 기본 중의 기본이다.
성과창출을 위해 사업과 연계하여 팀의 바람직한 모습과 전략, 중점과제를 만들고 실천하게 해야 한다.
조직과 팀원을 강하게 육성하고 솔선수범해야 한다. 올바른 의사결정을 신속하게 내려줘야 한다.
자신이 속한 회사에 대한 로열티, 높은 직무 전문성 그리고 함께 하는 사람의 가치를 올리며 동기부여하는 진정한 리더로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외부교수에게 이러한 관점에서 2:7:1의 비율로 팀장 유형별 분류를 요청했다.

공유하기

단기 알바 한 번만 채용해도

급구에서 인건비 최대 2천만원 지원해 드려요!

보러가기
Subscribe
Notify of
0 개의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인살롱 인기글

어떤 채용 담당자가 되어야 할까?

대-이직의 시대, 빠르게 비즈니스가 성장해야 하는 만큼 채용이 중요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개발자 공급 부족으로

실무형 팀장이 가져야 할 리더십

‘실무로 너무 바빠서 팀원들을 만날 시간이 없어요’ ‘몰라서 못하는 게 아니라 현실적으로 진짜 바빠서 어쩔 수 없어요’ 리더십에 대해 이야기를

스타트업 채용담당자의 직무역량 개발과 커리어 설계하기 : 2. 스타트업 채용담당자의 역할과 마음가짐

들어가며 지난 포스팅 스타트업 채용담당자의 직무역량 개발과 커리어 설계하기 : 1. 스타트업 채용담당자를 채용하며 느낀 점 에 이어, 오늘은 스타트업 환경에서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