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와 함께 애자일을…(5화)] 회고와 지속적인 개선

원티드 HR 트렌드 리포트

‘무료’로 다운로드 받으세요!

HR솔루션 원티드스페이스

인사 업무 시 필요한 모든 기능은 여기에!

“오늘은 안녕하신지요?”
여러분의 오늘 속에 살고 있는 니체입니다.

지난 만남에서는, 우리의 삶을 보다 충만하게 만드는 대표적인 메타인지적 활동인 ‘성찰(reflection)’과 ‘회고(retrospective)’ 중 ‘성찰’을 중심으로 먼저 살펴보았습니다. 앞서 언급드렸 듯, 성찰과 회고를 별개의 의미로 구분하여 사용하기보다는 이 둘을 유사한 의미로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긴 합니다. 다만 성찰과 회고를 하다 보면 자연스레 잘한 점보다는 개선해야 할 점에 초점을 두게 되는데, 이게 너무 잦아지다 보면 바쁜 업무와 관성으로 인해 변화와 개선이 더딘 스스로를 마주하며, 이상과 현실과의 괴리감으로 인한 자괴감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요즘 한국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가리켜 ‘현타(현실자각 타임) 왔다’고 표현하는 것 같더군요. 그리하여, 저는 성찰과 회고를 각각 다른 목적으로 구분하고자 하였습니다. 우선 자주 실행하는 것(일일/주간/월간 단위)을 ‘성찰(reflection)’이라 구분하고, 이 때에는 의지(-심!)를 담아 아쉬운 점보다는 ‘잘한 점’에 보다 초점을 두어 스스로를 칭찬하고 자부심을 고취시키는 것에 집중하기를 제안 드렸습니다. 그리고 이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음미하기(savoring)’와 ‘연결하기(connecting)’, 그리고 ‘기록하기’를 지난 만남에서 소개 드렸습니다.

자 오늘은 ‘회고(retrospective)’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나눠봅시다. 성찰을 통해 아쉬운 점보다는 ‘잘한 점’에 보다 초점을 두어 스스로를 칭찬하고 자부심을 고취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면, 회고에서는 본격적으로 ‘성장’에 초점을 두게 되며, 그 주기는 성찰(일일/주간/월간)보다는 다소 뜸하게 진행하는 것(분기간/반기간/년간)을 추천드립니다. 그 이유는 앞서 말씀드린 바처럼 변화와 개선이라는 것이 그리 빠르고 쉽게 달성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여러분들이 소위 말하는 ‘현타’를 예방하기 위해섭니다.

 

예전 만남에서 살펴보았던 더글라스(Douglas)가 ‘A/B/C’로 구분한 일의 유형에 대해 다시 한번 살펴봅시다. 우리가 늘상 하는 일은 ‘A 유형’의 일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B 유형’의 일은, 우리가 늘상 하는 일(A 유형의 일)을 어떻게 하면 더 잘 할 수 있을 지를 고민하고 개선하는 일이지요. ‘C 유형’의 일은 한발 더 나아가, 개선(B 유형의 일)을 어떻게 더욱 개선할 것인가에 관한 일입니다.

한편, 교육학자 메지로우(Mezirow)[1]는 회고를 다음과 같이 3가지로 구분합니다.

  • 내용(content) 회고: 내용과 성과에 대한 회고
  • 과정(process) 회고: 과정과 방식에 대한 회고
  • 전제(premise) 회고: 오랫동안 갖고 있던 자신의 전제, 신념 그리고 가치, 목적에 대한 회고

 

 

더글라스와 메지로우의 개선을 위한 회고 활동을 합쳐보면, 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B 유형’의 개선 활동에 1) 내용(content) 회고와 2) 과정(process) 회고를 포함하여 세분화할 수 있고, ‘C 유형’의 개선 활동으로 3) 전제(premise) 회고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여러분이 회고를 할 때에, 아래와 같은 질문을 던져 볼 수 있는 겁니다.

  • 이루고자 한 계획들을 잘 달성했는지? (content)
  • 일하는 방식이나 과정을 개선할 부분은 없는지? (process)
  • 근원적인 목적과 방향성, 정신모형에 대해 다시 검토해야 할 필요는 없는지? (premise)

 

회고의 과정에서, 현재 하고 있는 일의 성과(content)나 방식(process)를 개선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보다 근원적인 삶의 목적과 정신 모형(mental model)에 대해 주기적으로 되돌아 보고 이를 새롭게 갱신하는 것은 더욱 중요합니다.

우리는 세상을 직접 바라보고 느끼고 이해하는 것처럼 착각하지만, 실제로는 이를 재해석하여 우리 나름의 세상에 대한 모형(model)을 머리 속에 재구성하고, 이러한 정신 모형(mental model)을 통해 세상을 이해한다고 하였습니다. 헌데 이러한 전제, 즉 정신 모형이 잘못되어 있다면 아무리 열심히 일한들 바쁘기만 한 채 제자리에서 쳇바퀴를 굴리거나 혹은 엉뚱한 곳을 향해 달려가고 있을 지도 모를 일입니다.

 

 

정신 모형을 2가지로 구분하자면, ‘정신 모형 I’은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살아왔던 경험들을 바탕으로 현재를 좀더 효율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만들어진 정신 모형이고, ‘정신 모형 II’는 앞으로 어떻게 사는 것이 의미 있는 삶인지, 이 삶을 실현하기 위해 어떤 가치를 중요하게 다룰 것이지 등의 삶의 방향성을 제시해 주는 미래를 위한 정신 모형이라고 하였습니다.

우리는 회고를 통해 ‘정신 모형 I’을 새롭게 갱신하고, ‘정신 모형 II’를 조금 더 선명하게 그려보는 시간을 갖는 겁니다.

 

 

인생의 사명과 목적(정신 모형 II)을 먼저 선명하게 그려놓고 이를 향해 달려가는 사람은 생각보다 그리 흔치 않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불확실한 삶 속에서 좌충우돌하며 ‘디아스포라(Diaspora)’적으로 흩어져 있는 삶의 다양한 조각들을 조금씩 꿰어가면서 자신의 삶의 목적과 의미를 평생 동안 부여해가는 여정을 살아 갑니다. 이러한 표현이 제 의도와는 다르게 왠지 ‘방랑자’적인 삶처럼 부정적으로 들릴 지 모르겠네요. 그렇지 않습니다. 이는 삶 속에 다양성과 차이를 만드는 여정이며, 이렇게 풍성해진 다양성들을 꿰어내는 애자일한 삶의 여정입니다. 그 여정 속에서 차차 사명과 목적도 점점 선명해질 것이며, 이를 향한 가치와 비전도 더욱 뚜렷해질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유의할 것은 불확실함에 대해 너무 불안해하거나 조급하게 하실 필요가 없다는 점입니다.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 존 키츠(John Keats)는 자신의 미래와 관련하여 ‘셰익스피어와 같이 문학에서 큰 성취를 이룬 사람들은 과연 어떠한 자질을 갖고 있는지’를 먼저 고민하였고, 이에 대해 ‘Negative Capability’라는 결론에 이르게 됩니다. 이와 반대되는 개념이 바로 ‘Positive Capability’인데, 이는 문제를 재빠르게 해치우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현대 경쟁 사회에서는 이러한 ‘재빠른 문제 해결 역량(Positive Capability)’을 핵심 역량으로 여기고 이를 강조해 온 것이 사실입니다. 허나, 경쟁보다는 고유함과 탁월함을 추구하는 문학 분야에 있어서는 이러한 ‘재빠른 문제 해결 역량’보다는 오히려 ‘지긋한 문제 해결 역량(Negative Capability)’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이 키츠의 생각이었죠. 그리고 키츠는 이러한 ‘지긋한 문제 해결 역량’의 핵심은 바로 ‘불확실함에 온전하게 머물러 있을 수 있는 힘’이라고 시사하고 있습니다. 즉 문제 상황을 불안해하며 이를 재빠르게 해치우려 하기보다는, 문제를 하나의 의문으로 남겨둔 채 흥미롭게 바라보면서 문제를 둘러싼 불확실함과 불안정한 상태를 견뎌내는 힘과 용기가 중요하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우리도 우리의 삶의 문제들을 이러한 관점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삶의 문제들을 빨리 해치워야 할 숙제 거리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오랫동안 곁에 두고 지긋이 탐험해야 할 여정의 대상으로 바라보며 이를 둘러싼 불확실성과 불안함을 견뎌낼 용기를 가져보는 것은 어떨까요? 그러면서 지금 당장의 상황에서 바라보았을 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부터 작게 실험해보고 조정해가며, 조금씩 조금씩 점진적이고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애자일적 여정을 시도해보는 겁니다.

 

이러한 애자일적인 삶의 여정 속에서 당부 드리고 싶은 게 한가지 더 있다면, 바로 ‘실수’ 또는 ‘실패’에 대한 관점입니다. 예를 들어 살펴 보지요.

2006년 미국의 한 유명한 병원에서 신생아 6명에게 헤파린(혈액 항응고제)을 기준치의 1,000배나 투여하는 사고가 발생합니다. 안타깝게도 이 사고로 아이 3명이 죽고 나머지 3명도 심각한 중상을 입게 됩니다.  사실 이 병원에서는 5년 전에도 비슷한 사고가 있었으나, 다행히 그때는 후속 조치가 적절히 진행되어 환자가 사망하지는 않았습니다. 두 사고는 유사한 듯 보이지만 그 속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그것이 무엇일까요?

그것은 바로 실수를 대하는 방식으로, 실수 ‘예방’과 실수 ‘관리’의 차이입니다. 첫번째 사고가 발생했을 당시에는 실수 ‘관리’에 가까웠습니다. 헤파린을 투여할 때 실수가 발생할 여지가 있음을 전제하고 있었고, 이에 간호사들은 헤파린 투여 후에도 이상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실수를 조기에 발견하고 빠른 조치를 취할 수 있었습니다. 허나 이 첫번째 사고를 계기로 병원에서는 의료 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프로그램을 도입 운영하였고, 특히 헤파린에 대해서는 실수를 사전에 원천 차단할 수 있는 상당히 안전한 절차를 마련하여 시행했습니다. 그러나 이 것이 화근이 된 것입니다. 이 병원의 안전 프로세스가 너무 신뢰할 만 했기 때문에, 헤파린 투약을 준비할 때 실수할 여지가 완전히 없어졌다고 믿은 간호사들은 더 이상 헤파린 투여와 관련한 확인을 크게 신경 쓰지 않게 되었던 것입니다.

 

 

프레제(Frese)와 케이스(Keith)[2]의 연구에 따르면, ‘실수 예방’은 행동에서 실수로 가는 경로를 사전에 차단하려고 합니다. 즉, 실수를 저지르지 말라고 요구합니다. 그런데 사실 이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봐야 합니다. 그러하기에 차라리 실수는 어떻게든 발생할 수 밖에 없다고 전제하고, 그 대신 실수를 조기에 발견하고 빠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early detection & quick recovery)실수 관리라고 합니다. 물론, 이분법적으로 둘 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이냐의 문제는 아니고 이 둘을 적절히 조화시켜야 하겠지만, 그 무게를 어디에 더 둘 것이냐에 대해 고민하는 것은 충분히 의미가 있습니다.

‘실수 예방’ 중심 문화에서는 실수한 사람을 비난하고 처벌하고, 따라서 실수를 감추게 되고, 그에 대해 논의하기를 꺼리며, 문제가 생겼을 때에도 협력을 덜하게 됩니다. 반대로, ‘실수 관리’ 중심 문화에서는 실수가 나쁜 결과를 초래하기 전에 빨리 회복하는 것을 돕고, 실수를 공개하고, 실수에 대해 서로 이야기하고 이로부터 배우는 분위기가 생깁니다.

그러하기에 회고를 하는 과정에서 ‘실수’나 ‘실패’가 발견되었을 때, 이를 원천적으로 완벽하게 방지하려는 개선책을 만드는데 힘을 쏟기보다는, 이를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어떻게 하면 이를 보다 빠르게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지를 좀 더 고민하는 자세를 견지했으면 합니다.

 

회고를 혼자 하지 않고 여러 사람과 함께 할 때, 스스로의 부족한 점을 드러내는 자세에 대해서도 좀 더 이야기를 나눴으면 합니다. 흔히들 개선과 발전을 위해서는 자신의 취약성을 인정하고 이를 타인에게도 기꺼이 공유하는 것부터 시작하면 좋다고들 합니다. 헌데 여기서 말하는 ‘취약성(vulnerability)’이 과연 무엇을 의미할까요? 이는 자신의 ‘약점’을 드러낸다는 것과 같은 의미일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그렇지 않습니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 드리기 위해 ‘약점(weakness)’, ‘나약성(debility)’, ‘취약성(vulnerability)’의 용어 구분부터 해보죠. 먼저, ‘약점(weakness)’은 미흡하고 부족한 부분에 대한 객관적 사실로 가치 중립적인 용어입니다. 한편, ‘나약성’과 ‘취약성’은 이러한 약점을 대하고 다루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이 중 ‘나약성(debility)’은 약점을 극복할 능력과 의지가 없음을 스스로 인정하는 부정적이고 수동적인 태도를 나타냅니다. 반면 ‘취약성 (vulnerability)’은 비록 미흡하고 부족한 부분이 있어 두렵고 불안하지만 이러한 약점을 극복해 보고자 하는 용기를 갖는 것으로, 다시 말해 두려움과 용기의 감정이 공존하며 이 둘 모두를 타인들에게 솔직하게 공유하는, 약점에 대한 긍정적이며 적극적인 태도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구분에서 볼 때, 우리가 회고 과정에서 타인에게 드러내 보여줘야 할 것은 약점일까요, 나약성일까요, 취약성일까요? 나약성을 보여주는 것은 악수, 약점만을 보여주는 것은 하수, 취약성을 보여주는 리더는 중수, 그리고 취약성을 바탕으로 자신 스스로나 또는 타인들과 함께 부족한 부분을 메꾸고 용기를 내어 새로운 가능성을 향해 한발 더 나아가도록 도모하는 것이 고수이지 않을까요?

 

오늘은 우리의 삶을 보다 충만하게 만드는 대표적인 메타인지적 활동인 ‘성찰’과 ‘회고’ 중, 특히 성장에 초점을 두고 진행하는 ‘회고’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회고를 통해 성과(content)와 과정(process)을 더욱 개선할 수 있는 지를 살피고, 더 근본적으로는 목적(방향성)과 가치, 정신모형을 갱신해 볼 것을 제안 드렸습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발견되는 실수나 실패에 대해 원천적인 예방을 위한 노력보다는 빠른 발견과 대응을 위한 노력에 좀 더 힘을 실었으면 하는 당부와 함께, 이러한 실수/실패를 드러내는데 있어서의 자세인 ‘취약성’의 의미에 대해서도 살펴보았습니다. 또한 삶의 문제들을 너무 조급하게 바라보지 말고 불확실함을 온전하게 견뎌내는 힘을 견지하며, 점진적 지속적으로 나아가는 애자일적 여정에 대해서도 말씀드렸죠.

부디 여러분의 회고가 여러분 스스로를 짓누르는 평가가 아닌, 보다 충만한 삶으로 이어지는데 도움이 되는 유용한 피드백 수단이 되길 응원 드리며 다음의 만남을 기약해 봅니다.

이상, 과거에 살았던 니체가 아닌 여러분들의 오늘 속에 살고 있는 니체였습니다. 늘 그렇듯이 여러분의 행복과 안녕을 빕니다!

 

 

[1] Mezirow, J. (1990). Fostering Critical Reflection in Adulthood: A Guide to Transformative and Emancipatory Learning, Jossey-Bass, San Francisco.

[2] Frese, M., & Keith, N. (2015). Action errors, error management, and learning in organization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6, 661–687

 

 


연재 글 읽기

[니체와 함께 애자일을…(1화)] 오늘을 사랑하라

[니체와 함께 애자일을…(2화)] 차이와 반복, 수처작주(隨處作主)

[니체와 함께 애자일을…(3화)] 재미와 의미의 이중주, 그리고 슬랙

[니체와 함께 애자일을…(4화)] 성찰과 자부심

[니체와 함께 애자일을…(5화)] 회고와 지속적인 개선

[니체와 함께 애자일을…(6화)] 활사개공(活私開公)

[니체와 함께 애자일을…(최종화)] 수많은 별들

 

공유하기

HR솔루션 원티드스페이스

인사 업무 시 필요한 모든 기능은 여기에!

보러가기
Subscribe
Notify of
0 개의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인살롱 인기글

social media, connections, networking-3846597.jpg

[채용담당자로 살아남기]8. 네트워크를 어떻게 구축해야 될까요

또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바쁜 것도 아닌데 글이란 게 마음을 먹지 않으면 쓰기가 쉽지 않은 것 같네요… 반성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customer experience, best, excellent

피드백을 말하다

1분기 결산 기념. 피드백에 상흔 입은 쿠쿠다스 멘탈리티와 그가 순례를 마친 이야기.  ‘악플이 무플보다 낫다.’ 는 제 절친 같은 분도

진정성있고 역동적인 온보딩 설계하기: [1] 웰컴키트 예산이 없어요. 우리 회사 온보딩 망한건가요?

1. 호기로운 ENFP형 인사담당자의 이야기 나는야 호기로운 ENFP형 인사담당자! 보수적인 분위기였던 전 직장을 뒤로하고 학수고대하던 스타트업으로 이직에 성공하여 오늘 드디어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Scroll to Top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