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 Trend “코피티션(Co-petition)”

신규기업 추천하면 60만원!

추천인과 신규 가입자 양쪽에 30만원씩 최대 60만원 지급

채용에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면

빠르고 정확한 프리랜서 매칭, 원티드긱스로 오세요!

“코피티션(Co-petition)”

코피티션은 협동(Cooperation)과 경쟁(Competition)의 합성어이다.

쉽게 이해하자면 개인이나 부서, 업계 간의 상호 협력을 통해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나와 상대, 부서와 부서, 기업과 기업의 대립 관계에서 승자와 패자가 구분되는 Win-Lose가 아닌

모두가 승자가 될 수 있다는 Win-Win 전략을 말한다. 코피티션 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인식의 전환

 

조직에서는 서로가 목표를 향해 함께 뛰는 페이스 메이커이자 서로가 성장의 자극제가 되는 건전한 라이벌이 되어야한다.

‘프레너미(Frenemy-친구이자 적)’, 대립과 경쟁의 관계처럼 보이지만 서로 공존공생하기 위해서는 인식을 바꿔야 한다.

때로는 대립하지만 때로는 협력해야 하는 라이벌로 인식한다면 코피티션의 첫 걸음을 뗄 수 있다.

조직 차원의 시스템 구축

 

조직 내 대인 관계나 부서 간 세워진 소통의 장벽은 갈등을 더욱 악화시키고 코피티션을 방해한다.

조직 자체에서 구축한 협업 시스템(툴, 제도 등) 만이 원활한 소통과 협업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새로운 리더십 발휘

 

조직 내 갈등상활을 협업으로 전환시키는 네 가지 방법은 G·O·A·L이다.

G(Goal): 공동의 목표를 강조하고 공유하면 협업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부각할 수 있다.

O(Opinion): 예상되는 문제나 개인, 부서의 요구사항에 대한 의견을 나눠야한다.

A(Agreement): 앞서 수용하지 못하는 사안에 대해 합의를 이뤄야한다.

L(Logic): 실행계획 수립, 업무분담과 같은 논리적인 구조를 통해 코피티션의 장애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신뢰기반의 조직문화

 

신뢰는 곧 돈이다. 신뢰기반의 조직문화가 만들어지면 불필요한 절차와 갈등을 제거하기에

그에 따르는 비용 역시 줄일 수 있다.

경쟁과 대립의 시대, 경쟁과 협동을 오가며 모두가 승자가 되는 상생전략,

코피티션에 주목할 때이다.

공유하기

HR솔루션 원티드스페이스

인사 업무 시 필요한 모든 기능은 여기에!

보러가기
Subscribe
Notify of
0 개의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인살롱 인기글

일을 중심으로 리드하자(괴롭힘 없는 일터 만들기)

얼마 전  D사 팀장급을 대상으로 ‘직장 내 괴롭힘 예방’ 교육을 한 적이 있습니다. 중간에 휴식시간을 가졌는데 어느 교육생의 목소리가 들려왔습니다.

우리회사에 찰떡같이 어울리는 어떤 평가/보상/피드백 제도는 무엇인가요?

요즘 A업계는 어떤 평가/보상 제도를 운영하고 있대요? 평가/보상/피드백 제도를 도입하려면 어떤 것을 고려해야 하나요? 평가/보상/피드백 제도를 운영하기 위해 어떤 HRIS를

video conference, webinar, skype

개발자 채용은 왜 어려울까?

왜 어려웠을까? 나는 채용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회사의 전반적인 채용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보니 당연히 개발자 조직도 내 업무 범위 안에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