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 Trend “코피티션(Co-petition)”

기업 브랜딩이 고민된다면?

원티드, 아웃스탠딩과 함께해보세요

기업 브랜딩이 고민된다면?

원티드, 아웃스탠딩과 함께해보세요

“코피티션(Co-petition)”

코피티션은 협동(Cooperation)과 경쟁(Competition)의 합성어이다.

쉽게 이해하자면 개인이나 부서, 업계 간의 상호 협력을 통해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나와 상대, 부서와 부서, 기업과 기업의 대립 관계에서 승자와 패자가 구분되는 Win-Lose가 아닌

모두가 승자가 될 수 있다는 Win-Win 전략을 말한다. 코피티션 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인식의 전환

 

조직에서는 서로가 목표를 향해 함께 뛰는 페이스 메이커이자 서로가 성장의 자극제가 되는 건전한 라이벌이 되어야한다.

‘프레너미(Frenemy-친구이자 적)’, 대립과 경쟁의 관계처럼 보이지만 서로 공존공생하기 위해서는 인식을 바꿔야 한다.

때로는 대립하지만 때로는 협력해야 하는 라이벌로 인식한다면 코피티션의 첫 걸음을 뗄 수 있다.

조직 차원의 시스템 구축

 

조직 내 대인 관계나 부서 간 세워진 소통의 장벽은 갈등을 더욱 악화시키고 코피티션을 방해한다.

조직 자체에서 구축한 협업 시스템(툴, 제도 등) 만이 원활한 소통과 협업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새로운 리더십 발휘

 

조직 내 갈등상활을 협업으로 전환시키는 네 가지 방법은 G·O·A·L이다.

G(Goal): 공동의 목표를 강조하고 공유하면 협업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부각할 수 있다.

O(Opinion): 예상되는 문제나 개인, 부서의 요구사항에 대한 의견을 나눠야한다.

A(Agreement): 앞서 수용하지 못하는 사안에 대해 합의를 이뤄야한다.

L(Logic): 실행계획 수립, 업무분담과 같은 논리적인 구조를 통해 코피티션의 장애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신뢰기반의 조직문화

 

신뢰는 곧 돈이다. 신뢰기반의 조직문화가 만들어지면 불필요한 절차와 갈등을 제거하기에

그에 따르는 비용 역시 줄일 수 있다.

경쟁과 대립의 시대, 경쟁과 협동을 오가며 모두가 승자가 되는 상생전략,

코피티션에 주목할 때이다.

공유하기

기업 브랜딩이 고민된다면?

원티드, 아웃스탠딩과 함께해보세요

보러가기
Subscribe
Notify of
0 개의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인살롱 인기글

공감의 언어

‘세상에 좋은 작품의 수는 그것에 공감하는 독자의 수만큼이 아닐까?’  독자가 모든 글에 공감할 필요는 없다. 각자 취향은 다르기 때문이다. 또

커리어 고민, 모여봐 들어봐 1-1(크래프톤 진혜림, 야놀자 장민서)

2021년, 새로운 해가 찾아왔습니다. 요즘 여러분의 일은 어떠신가요? 나의 커리어는 어디로 가는가, 늘 고민하고 있지만 HRer 라는 이유로 누군가에게 털어놓지

조직을 성장시키는 팀플레이어를 채용하라!

오늘은 채용의 마지막 주제로 어떤 사람을 채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얘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채용에 있어서는 넷플릭스처럼 인재밀도를 높이는 것만큼 좋은 방법이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Scroll to Top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