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원 코칭을 하라고? 웃기는 소리하네.

기업 브랜딩이 고민된다면?

원티드, 아웃스탠딩과 함께해보세요

채용에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면

빠르고 정확한 프리랜서 매칭, 원티드긱스로 오세요!

 

요즘 ‘팀장급’ 중간관리자에게 부과되는 새로운 미션 중 하나가 바로 팀원에 대한 ‘코칭’이다. 지금도 바빠 죽겠는데, 밀린 일을 뒤로 하고 코칭 교육에 입과 한다며 푸념하는 팀장이 많다. 실제로 그렇다. 예전처럼 도장만 찍던 부서장은 아주 오래된 얘기다. 쥐어짜도 물 한 방울 안 나올 것처럼 할 일로 하루가 빡빡하다.

이런 상황에서 코칭을 하란다. ‘좋은 리더(팀장)는 좋은 코치’란다. 구글에서 그랬다고 하지(Oxygen PJT). 세상 것 뭐든 정당성을 갖는다. 대학 교재 아무거나 펴서 서문을 보시라. 이 과목이 얼마나 중요한지 구구절절 유려한 문장으로 가득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현재 상황에서 팀장은 코칭을 할 수 없다. 정확히 말하자면 ‘코칭 미팅’을 하면 안 된다.

 

1. 코칭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든다.
일반적으로 비즈니스 코칭은 1개 이슈에 2시간씩 5번의 코칭을 권장한다. 지금 우리 팀과 팀원을 생각하면 이슈가 한둘이 아니다. 전통적인 제조기업에서 현업 팀장(라인 조직)은 대략 15~40명 정도의 팀원을 관리한다. 애초에 코칭을 할 수 없는 구조다.

2. 코칭은 대상자가 주도한다.
‘어디 가서 코치 좀 받고 와라.’ 이런 말을 한다. 여기서 코치(코칭)는 진짜 코칭이 아니라 ‘티칭’이다. 배우고 오란 말이다. 티칭은 선생이 주도하는 반면, 코칭은 코치가 주도하지 않는다. 코치는 그저 좋은 질문으로 답을 찾아가도록 유도하는 퍼실리테이터에 가깝다. 마라톤의 페이스 메이커와 비슷하다. 경주는 마라토너가 뛰는 것처럼 대상자가 자발적으로 답을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선 대상자 스스로가 코칭을 받겠다고 결심해야 하며, 자원해야 한다. 어떤 걸 코칭 받고 싶은지 주제는 생각하고 임해야 한다.

어느 조직을 가보니 ‘저성과자’에 대한 코칭을 강화하라고 하더라. 코칭은 잘하는 사람을 더 잘하게끔 하는 기술이다. (적어도 가능성이 있는 사람을 잘하게 만드는) 저성과자는 자발적인 동기가 없을 가능성이 높다. 100% 달성하는 직원을 120%까지 끌어 올리게 하는 것과 60% 직원을 80%로 만드는 것 중 어느 것이 더 용이할 것으로 보는가? 불행히도 많은 리더의 시간은 후자에 매몰돼있다.

3. 모든 사람이 코칭에 적합한 것은 아니다.
코칭은 변화를 끌어내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자신의 현재 상황에 대한 비판적 의식이 있어야 성공할 수 있다. ‘내가 무슨 문제가 있어요?’, ‘일 못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데요?’라는 질문을 날리는 직원은 코칭이란 수단이 적합하지 않다. 이렇듯 태도와 역량에 문제가 있는 직원에겐 티칭해야 한다. 자기 인식과 개선 의지가 없다면 ‘Coachable’한 사람이 아니다.

4. 구글이 말한 코칭은 우리가 아는 코칭이 아닐 수 있다.
위에서 말한 코칭은 ‘코칭 미팅’을 말하는 것이다. 시간과 노력을 엄청 잡아 먹는다. 팀장 딴에는 좋은 질문을 던졌는데, 팀원은 답답하게도 답을 내놓지 못한다. 참지 못해 ‘야, 그건 이렇게 해야지!’라고 내밷는 순간 코칭은 끝나버린다.

우리는 피드백과 1on1 미팅을 활용할 수 있다. 코칭과 사뭇 다르지만 코칭의 기술 중 질문을 가져다 쓸 수 있다. 좋은 질문은 상대로 하여금 두뇌를 말랑말랑하게 작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동기를 끌어낸다는 것은 지시와 통제가 아니라 자생적인 생각을 하게끔 유도하는 것이다. 그렇게 질문을 피드백과 1on1 미팅에서 활용하는 게 현실적인 코칭 활용법이라고 본다.

중간관리자에게 조직이 원하는 바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시간은 한정돼있는데 자꾸 뭐가 떨어진다. 이는 마치 국어, 영어, 수학 학원에서 학생의 절대 공부 시간은 생각지도 않고 각자 숙제를 왕창 내주는 것과 다름이 없다. 팀장은 크리스마스 트리가 아니다. 이쁘다고 별 달고, 인형 달다 보면 트리는 쓰러지는 법이다.

PS. 조직적 배려가 있어 팀장이 다소간의 여유가 있더라도 팀원의 10% 내외로 한정하여 코칭할 것을 권장한다.

공유하기

완벽한 사무실 구하기, 스매치

빅데이터 기반으로 1분만에 최적의 사무실을 제안합니다.

보러가기
Subscribe
Notify of
0 개의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인살롱 인기글

인사담당자의 일 07(현업과 HR)

주변 동료HR과 얘기해보면 HR에서 진행하는 여러 업무들(조직문화, 핵심인재, 조직모니터링 등)이 실제 현업에서 일하는 분들께 실질적 도움이 되는지 불분명한 경우가 많습니다.

급여담당자로 성장하기(4대보험 건강보험료 편)

저번 포스팅(주니어 인사 담당자는 주로 무슨 업무를 할까?)이 인기글로 선정되어 기쁘면서도 미흡한 부분이 많아 조금은 부끄러웠지만 많은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2021년 달라지는 노동법령 및 노무관리 체크포인트

새해를 맞아 금번 기고에서는 2021년 달라지는 노동법령의 주요 내용과 노무관리 체크포인트를 짚어보고자 한다.   1. 최저임금 인상 및 산입범위 확대(시행일: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Scroll to Top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