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의 방향성 및 전략(쥬니어편)

지난 기고에서 체계적인 이직을 위해서 이직 요소들에 대한 구조화된 이해와 현재 본인의 위치를 객관화하여 인지해야 하는 부분에 대해서 언급을 하였습니다.

이번 기고에서는 특히, 쥬니어 경력을 가지고 계신 분들은 어떠한 방향성을 갖고 이직을 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얘기를 하고자 합니다.

회사와 업계에 따라서 쥬니어에 대한 정의는 다릅니다. 하지만 각 직위마다 일반적인 근속 연한을 고려했을 때 최대 경력이 6-7년 정도되는 사람을 말합니다. 회사에서 직위를 기준으로 나눈다면 통상적으로 신입, 주임, 대리 정도의 사람들을 말합니다.

이직을 한다는 것은 경력직이 된다는 것입니다. 경력의 사전적 의미인 ‘여러 가지 일을 겪어 지내 옴’과 같이 경력직은 다양한 일을 겪어 경험을 이미 축적되었다고 생각되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이직을 하면 그동안 쌓았던 경험으로 바로 새로운 회사에서 성과를 내야 하는 상황입니다. 본인의 직무에서 겪을 수 있는 A to Z까지의 모든 업무를 최대한 빠르고 깊게 경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쥬니어 경력직분들 이직을 할 때 다양한 고려 사함이 있겠지만 그중에서 가장 우선을 두어서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 본인 직무의 A to Z에 대해서 얼마나 경험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부분입니다. 얼마나 본인 직무에 대한 경험을 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본인이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있냐는 내적 동기가 우선시 돼야 합니다. 경력 연차가 늘어나고 시니어 레벨로 갈수록 순수하게 직무 경험 자체를 경험할 기회는 줄어들고 오히려 이미 쌓아온 경험을 활용하고 그것들을 적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궁극적으로 쥬니어 때 본인 직무에 대한 본질적인 고민을 하거나 지식을 익히는 시간을 갖지 못하게 되면 그 이후에는 기회가 많지 않습니다.

이러한 방향성을 이직 요인 만족도 사분면에 적용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분면 내에서 본인의 위치가 어디에 있던 최종적인 목표는 1사분면으로 이동을 해야 합니다. 또한 이미 1사분면에 있는 사람들도 1사분면 내에서도 최대한 우상향하여 원점에서 멀어지는 위치로 이동을 해야 합니다.

쥬니어 분들은 1사분면으로 이동할 때 우선적으로 X축인 내적 요소의 점수가 높아지는 방향으로 우선적으로 이직의 방향성을 잡아야 합니다. 이를 통해서 직무에 대한 경험을 빠르게 쌓아야 합니다. 그다음에는 Y축인 외적 요소의 점수가 높아지는 방향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1사분면으로 이동하는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물론, 이직을 통하여 내적 요소와 외적 요소가 동시에 변화가 생깁니다. 두 요소의 점수가 모두 같은 비율로 증가하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므로 우선순위를 두어야 하고, 쥬니어 분들은 두 요소의 점수 변화 중에도 내적 요소의 점수가 더욱 높아지는 곳으로 이직하는 것이 장기적인 경력관리 관점에서 생각해 보면 보다 전략적인 선택이 됩니다.

다음 기고에서는 미들 경력자들의 얘기를 하고자 합니다. 이직 시장에서 가장 경쟁력이 있고 이직의 기회가 가장 많이 찾아오지만 막상 당사자들은 애매한 경력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미들 경력에서 어떻게 결정하냐에 따라서 시니어가 되어서 성장 관점에서 큰 차이가 날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으므로 갈팡질팡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에 미들 경력자의 관점에서 어떠한 방향성으로 이직 전략을 세워야 할지에 대해 다음 기고에 얘기하도록 하겠습니다.

추가로 저는 개인적으로 인스타그램에서 posted.by.hr 이라는 계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인사에 대한 다양한 생각을 편하게 공유하고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많은 방문 부탁드립니다.

공유하기

Subscribe
Notify of
0 개의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인살롱 인기글

HRD 뭣이 중헌디 – 간식에 대한 고찰

코로나는 회사의 교육 조직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초기에는 기존에 운영하던 과정들이 전면 취소 또는 축소 되게 되었다. 오프라인 위주로 진행되었던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