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의 방향성 및 전략(시니어편)

HR솔루션 원티드스페이스

인사 업무 시 필요한 모든 기능은 여기에!

원티드 HR 트렌드 리포트

‘무료’로 다운로드 받으세요!

지난 기고에서는 경력이 7년~12년 정도되는 미들 경력자분들의 이직 방향성과 전략에 대해서 언급을 하였습니다. 미들 경력자분들의 경우 내적 만족도 요소 상승과 외적 만족도 요소 상승 중에 두 가지 모두 선택할 수 있어 가장 고민이 많이 필요한 연차라는 것을 언급했습니다. 또한, 이 시기의 선택이 급격하게 기회가 줄어드는 시니어 시기에 얼마만큼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더욱 신중하게 선택해야 하는 부분도 강조를 하였습니다.

다시 한번 미들 연차의 중요성을 인지하며, 이번 기고에서는 경력 12년 이상의 시니어 분들의 이직 방향성과 전략에 대해서 얘기하고자 합니다.

먼저 조직 내에서 일반적인 시니어 경력자들이 처한 상황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먼저 직무에 대해서는 쥬니어, 미들 시기를 거치면서 본인의 명확한 직무가 결정되어 있는 시기입니다. 직무 전문성을 바탕으로 조직 내 관리자 역할이 추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통상적으로 직무를 담당하기보다는 조직 전반을 이끌거나, 조직원들을 관리하며 조직 단위의 성과를 만들어 내야하는 역할이 커지게 됩니다. 다시 말해 관리자 역할의 확대로 직무 역량을 기를 수 있는 기회와 시간이 급격하게 줄어들게 됩니다. 이미 본인 직무에 대해서는 높은 수준을 달성해 놓아야 합니다. 또한, 피라미드 구조의 조직 성격에 따라 가장 윗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시기입니다. 승진을 한다거나 추가적인 권한을 갖기 위한 기회가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했던 것보다 급격하게 줄어드는 것이 시니어 시기입니다.

시니어 경력자들의 이직에 대한 큰 방향성은 내적 만족도가 상승하는 방향보다는 외적 만족도가 상승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본인 직무에 대한 전문성은 어느 정도 갖춰져있다는 전제로 이직의 방향성을 결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직한 회사와 조직에서 얼마나 본인의 입지를 잘 다져서 다음 기회를 만들 수 있냐는 관점을 더욱 고려해야 하는 전략입니다.

입지를 다진다는 뜻은 여러 가지를 의미합니다. 조직 내에서 버티는 식으로 포지셔닝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쥬니어와 미들 시기에 길러진 전문성을 기반으로 조직 내 존중을 받는 포지셔닝이 되어야 합니다. 시니어 경력자들은 개인의 역량으로 차별화되기 보다 팀이나 조직 차원의 역량을 어떻게 끌어올리냐에 따라서 차별화됩니다.

외부 만족도를 구성하는 하부 요소를 어떤 식으로 고려해야 하는지를 정확히 하는 것도 시니어 경력자의 최종 의사결정에 중요한 부분입니다.

첫째, 조직 문화에 대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어느 조직이나 기존에 있던 사람들과 조직이 있습니다. 기존 그룹의 영향력이 클수록 내부적인 텃세 등으로 이직자들이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커집니다. 최근에는 상시 채용과 경력 채용이 활발하지만 일부 대기업 중심으로 예전에는 공채 채용을 진행했던 경우가 많았습니다. 공채 문화가 강한 회사는 기존 그룹의 수용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며 신중해야 합니다.

둘째, 산업의 경쟁력 부분이 있습니다. 기존부터 있었던 전통산업에서 기존 인력과의 경쟁보다는 새롭게 시작하는 산업 또는 사업에서 시작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새로 시작하는 조직에서 해당 직무 전문가 경쟁력을 극대화하는 방법으로 이직 전략 방향을 세우는 것입니다.

셋째, 회사의 경쟁력 부분이 있습니다. 당연한 얘기일 수 있지만 다른 조건들이 비슷하다면 업계에서 선두 그룹에 있는 회사로 이직하는 것으로 방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선두 기업들은 업계에서 처음 시도하는 도전을 많이 합니다. 또한 규모 면에서도 큰 프로젝트를 많이 합니다. 이러한 경험이 시니어 경력자들에게 다음 기회를 부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이직할 회사의 경쟁력도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시니어 경력자분들은 피라미드 조직에서 상단부에 위치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상당히 적은 기회가 주어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이직을 통해 명확하게 개선되는 부분이 없다면 기존에 있는 조직에 머무르는 것이 현명한 선택인 경우도 많습니다. 항상 신중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이직 시 최종 결정을 하기 전에 다양한 관점에서 고민하여 선택을 해야 합니다.

다음 기고에서는 그동안 연재되었던 이직의 방향성과 전략에 대한 정리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추가로 저는 개인적으로 인스타그램에서 posted.by.hr 이라는 계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인사에 대한 다양한 생각을 편하게 공유하고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많은 방문 부탁드립니다.

공유하기

HR솔루션 원티드스페이스

인사 업무 시 필요한 모든 기능은 여기에!

보러가기
Subscribe
Notify of
0 개의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인살롱 인기글

laptop, mobile phone, table-5987093.jpg

“나 저 회사 다녀보고 싶어”의 저 회사 되기

요즘 핫한 소재인 채용 브랜딩과 채용 마케팅에 대해서는 그 중요성을 익히 들어보셨을 겁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채용 브랜딩, 채용 마케팅의 간단한

윤영돈

이제 ‘일하는 방식’보다 ‘일하는 문화’가 중요시된다! [채용트렌드2024]

“인재를 확보하는 것은 금을 캐는 것과 같다. 금광에서 1온스의 금 덩어리를 캐기 위해서는 트럭 몇 대 분의 흙을 파내야 한다.”

marketing, business, whiteboard-3582974.jpg

Data로 효과적으로 일하기

일을 잘한다는 것은 무엇일까? 업무와 경력에 따라서 기준이 다를 수 있지만 보통 아래 3가지 기준이 아닐까 한다. 주어진 업무에 대해서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Scroll to Top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