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잃은 우리 조직에 북극성 띄우기 01

신규기업 추천하면 60만원!

추천인과 신규 가입자 양쪽에 30만원씩 최대 60만원 지급

채용에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면

빠르고 정확한 프리랜서 매칭, 원티드긱스로 오세요!

수신 : 구성원의 성장을 위하는 인사 담당자

삶을 쪼갤 수 있다는 거짓말

우리는 하루의 절반을 일하는데 쓰면서, 일과 삶을 분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시간을 많이 쓰는 곳이 결국 나를 가장 잘 대변한다.

‘일터의 나’와 ‘집의 나’는 결국 한 사람이란 것을 인정하고,

일에서 의미를 찾아야 온전한 삶을 누릴 수 있다. 

– 삶으로서의 일, 모드텐 알베크 –

 

일의 의미를 찾은 사람들에게 일이란 ‘가장 나답게 남을 돕는 수단’이라고 생각한다. 일의 수혜자를 내가 아닌 사회 전반으로 조정하면 나는 사회에 영향을 주는 사람으로 성장하고 성과는 저절로 따라온다.

우리 팀은 위처럼 일하는 방법을 컬처덱을 통해 조직 구석구석에 전파하고자 했다. 그런데 사회에 좋은 일을 하자는 메시지를 어떻게 담아야 할까? 나쁜 것은 규정하기 쉽지만, 좋은 것은 규정하기 어렵다. 아직은 희미한 기준, 체인지 에이전트를 도우면서 답을 찾아갈 예정이다.

 

1. 이 일을 하는 목적과 우리 팀의 역할

(수많은 인재를 양성한 독일의 예술 학교 바우하우스)
  • 메디쿼터스의 설립 목적은 양질의 일자리를 통한 사회적 리더 배출이다.
  • 회사를 학교에 비유해보자면 인재경영본부는 선생님이다. 여기 속한 세 팀 중 –
    (1) 피플팀은 학교의 환경을 조성하는 선생님이고
    (2) EX팀은 실력을 양성하는 선생님이고
    (3) 커뮤니케이션팀은 인성-마인드를 양성하는 선생님이다. 그래서 우리는 A(대표)의 마인드를 C(직원)가 이해할 수 있게 B의 위치에서 소통한다.

A(대표)  –  B(커뮤니케이션팀)  –  C(직원)

 

2. 체인지 에이전트의 역할

  • 체인지 에이전트는 ‘나’라는 브랜드를 창업하는 것이다.
    내가 먼저 대체 불가능한 인재로 변화해서, 사회에 기여하는 마인드를 동료에게 전파하고, 우리 조직의 전체 수준을 높이는 첫 단추가 되는 것이다.

 

3. 체인지 에이전트의 미션/비전

  • 미션
    (1) 대표(경영자)의 마인드를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
    (2) 본인만의 아이덴티티를 브랜딩 한 다음
    (3) 회사의 미션/비전보다 더 큰 변화를 일으키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 비전
    (1)
    대표가 없어도 소속 팀/부서를 어떻게 더 잘 리드할지 알고
    (2)
    이 좋은 영향을 동료에게 전파해서 온 조직의 수준이 높아지게 기여하는 것이다.

 

4. 체인지 에이전트 선정 기준

  • 체인지 에이전트는 리더를 위해 마련된 프로그램이다.
    (1) 브랜드/플랫폼 사업 부서 리더,
    (2) 조직에 영향을 주고자 하는 직원,
    (3) 선생님의 역할을 맡고 있는 인재경영본부원 등

 

  • 이때 리더란 직책이 높은 사람을 뜻하는 것이 아닌
    (1) 주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만큼의 리더십
    (2) 직무에서 커리어 정점을 찍을 수 있는 리더십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뜻한다.

 

5.  체인지 에이전트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아래와 같이 변화할 것이라 예상한다. 

  • 0단계 : 남을 도우며 살아야지.
  • 1단계 : 사회를 긍정적이게 만들 수 있는 나만의 업무 강점은 00이야.
  • 2단계 : 선한 일을 통해 내가 완성되어 가고 있어. 이런 경험은 동료들과 함께해야지.
  • 3단계 : 대표(리더)가 없어도 어떻게 더 좋은 방향으로 갈지 알겠다.

 

프로그램을 두 달간 진행하면서 느낀 것은 0단계가 가장 어렵다. 0단계를 머리로는 알지만 마음으로 알지 못하면 그다음 단계가 작동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이타적인 일이 이상적인 것도 알고, ESG 경영이 트렌드인 것도 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일하면 성과가 나오는지 근거로 알고 싶어 한다.

이제 나에게는 이런 질문이 남았다. 마음으로 해야 하는 일을 어떻게 논리로 설득하지?

 

공유하기

신규기업 추천하면 60만원!

추천인과 신규 가입자 양쪽에 30만원씩 최대 60만원 지급

보러가기
0 개의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인살롱 인기글

심리적 안전감이 오히려 조직을 망칠 수도 있다. (feat. Dark side of Psychological Safety)

(이미지 출처 : https://blog.jostle.me/blog/7-ways-to-create-psychological-safety-in-your-workplace) ‘팀 안에서 편안하게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개인적 느낌(Kahn, 1990)’으로 정의되는 심리적 안전감(Psychological Safety)이 국내

게임회사 첫 조직문화 담당자 정착기: 매뉴얼 없는 직무, 첫 조직문화 담당자는 뭘 해야 되나요?

처음부터 조직문화 담당자가 되려고 했던 것은 아니었다. 처음에는 교육 담당자로 들어와서 업무 범위가 서서히 넓어지더니 ‘지식관리’ 담당자에서 ‘조직문화’ 담당자로 불리는게

HR앰버서더와 함께한 하반기

제가 매년 개인적으로 치르는, 저만의 연례 행사가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블로그에 올 한 해를 돌아보는 글을 쓰는 것이예요. 올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