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신 : 사회에 기여하는 일의 목적을 찾고 이를 발현하고자 하는 사람
인살롱 글이 밀리는 동안 체인지 에이전트 1기는 마지막 10회차를 맞아버렸다. 약 2달 동안 올리지 못했다는 사실이 잠자기 전 떠오르는 흑역사처럼 너무 불편했다. 꽤 많은 분들이 공감할 것 같은데, 나는 생각을 완벽하게 정리한 글을 보여주려다가 못 올렸다.

‘이상해도 그냥 써라. 쓰지 않고자 하면 각종 창의적인 쓰지 않을 이유가 나온다’라는 뜻이다. 내가 메모장에 써놓은 분량은 4장이 넘어가는데 정리가 안된다는 이유로 지우고 지우다가 나도 참 이해하기 힘든 말이 돼버렸다.
“민주님 근데 이거 왜 하는 거예요?”
내가 4회차 체인지에이전트를 진행하면서 이런 실수를 똑같이 한 적이 있었다. 미팅을 마무리하며 “다음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박수 치고 일어나려는 때에 갑자기 실장님 한 분께서 이거 왜 하냐고 질문을 던지셨다. 순간 회의실에는 적막이 흐르고, 나는 헉하는 느낌을 받았다.
나는 생각했다. ‘4회까지 내내 이걸 왜 하는지에 대해 말했는데, 뭐가 잘못된 거지?’ 실장님은 프로그램의 취지를 모르겠고, 목표가 명확하지 않다고 하셨다. 그러고 사람들이 여전히 남아있는 상태에서 그분과 짧고 굵은 토론을 하게 되었다. 결론적으로는 이 토론 덕분에 내 의견은 더 단단해지고, 듣고 있던 사람들 입체감 있는 이해를 할 수 있었다. 나는 “이렇게 짚어주셔서 너무 감사하다”라고 거듭 인사드리고 내가 한 말에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책을 전달드렸다.
“민주님, 초등학생 가르쳐 본 적 있으세요?”
그때 지켜보셨던 팀장님께서 조용히 나를 불러 점심 미팅을 요청하시더니 질문하셨다. 아무리 각 분야의 전문가라도 조직문화나 브랜딩 분야에서는 어린이를 대하듯 눈높이를 낮춰야 한다는 뜻이었다. 여러 가지 조언을 주셨지만, 아래 내용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1) 조직문화 브랜딩, 목적 경영, 사회적 리더 등의 비유를 쉽게 통일할 것.
2) 전하고 싶은 내용 10개 중 1개만 전달할 것.
3) 이 프로그램을 잘 이해하고 다른 사람들의 호응을 유도할 수 있는 1명을 먼저 공략할 것.
4) 체인지 에이전트를 함으로써 내가 어떻게 매력적으로 변할 수 있는지 상상할 수 있는 사업 부서 모델을 발굴할 것.

최근에 초등학생 교육에 참관을 갈 일이 있었는데, 가만 보니 발언자의 말을 아무도 듣고 있지 않았다. 이게 어떻게 진행이 되고, 아이들은 대체 어디를 보고 있는 건지 놀라울 정도였다. 내 PPT는 이제 4회차를 맞아 한껏 요약되고, 발언도 더욱 핵심만 담은 상태로 정돈되어서 ‘이게 바로 효율이 아닐까?’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나야말로 아무것도 전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이 프로그램을 혼자 준비하다 보니 ‘이 정도면 되겠지’라는 생각이 들 때엔 꼭 그게 아닌 운명에 빠진 것 같다. 어떻게 해야 혼자서도 잘 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