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채용시장에 큰 영향을 주었던 것처럼 이제 ChatGPT가 채용트렌드를 바꾸고 있다. 대한민국의 채용트렌드는 다른 나라와 많이 다르게 특수하며 점점 공채가 사라지고 수시 채용으로 바뀌고 있다. AI 채용이 늘어나고 ChatGPT가 등장하면서 그 활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2023년은 일반 사용자와 기업들을 가리지 않고 사실상 전 분야에서 ChatGPT가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과거 알파고(AlphaGO)가 AI의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완전히 바꾸어놓았던 것처럼 ChatGPT는 대화형 검색으로 알파고와 같은 수준의 변화를 이루어 가고 있다.
대한민국은 특이하게 발달한 자기소개서 샘플(Example, 예시) 시장이 있다. 문서 서식 사이트가 다른 나라와 달리 발달했고 자기소개서 샘플이나 면접 족보 등이 유료로 판매되고 있다. 대학교 취업센터, 일자리센터에서도 취업 컨설턴트가 배치되어 자기소개서를 도와주거나 면접 코칭을 통해서 취업을 지원하고 있다. 그런데 이제 ChatGPT가 취업 시장을 변화시키고 있다.
직접 챗GPT-4에서 물어보았다.
이처럼 ChatGPT는 자동화 채용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개인에게 적합한 질문을 만들 수도 있다. 특히, 다양한 데이터 기반 채용 의사 결정에 보조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채용 방식을 넘어서는 새로운 방식을 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기반 채용 과정을 도입할 수도 있다. 어떤 게임을 도입해서 지원자의 창의성을 확인할 수 있는지에 관련된 사항이다.
채용 플랫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자소서 작성이나 첨삭에 ChatGPT 활용이 늘어나면서 변별력 문제가 새로운 이슈로 떠오른다. 채용 플랫폼 회사들도 ChatGPT를 활용한 자소서 코칭 서비스와 함께 구직자 검증 서비스 출시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어떤 기업은 ChatGPT를 자소서 서비스에 도입하려고 준비하고 있으며 이는 NLP(Natural Language Processing) 기술에 기반한 AI 자기소개서 코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대화형 인공지능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ChatGPT 도입을 추가로 준비하고 있다. 사용자가 자소서 생성 시 자동으로 AI가 잘못된 문장이나 맞춤법을 알려주고, 글을 고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ChatGPT는 지원자와 조직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기존 채용 방식에 대해서 다수의 구직자가 불공정을 경험했다고 한다. 기존 채용 기준을 못 믿는 이유로 내정자가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을 때, 특정 지원자에게 관심이 집중되었을 때, 채용과 관련이 없는 정보를 물을 때, 특정 조건을 가진 사람의 우대 또는 탈락 소문을 들었을 때, 자신보다 낮은 조건을 지닌 사람이 합격했을 때와 같은 상황이 주류를 이루었다.
채용하는 기업은 어렵게 채용했더니 조기 퇴사하면서 업무 공백이 많이 생겼다는 문제가 있었는데 조기 퇴사 요인은 직무 부적합 문제가 가장 많았다. ‘입사했을 때는 좋아 보였는데 막상 일하다 보니 자신이 생각한 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 때 그만두었다. 조기 퇴사는 열심히 준비해 합격한 사람에게도 손해며 채용했던 기업도 마찬가지다.
ChatGPT는 조직의 인적 자원 부서의 업무 보조에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모든 조직에서 채용 관련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해결책은 아니다. 다만, ChatGPT를 활용해 지원자와 조직 간 의사소통이 원활해질 수는 있다. 이를 사용하면 지원자는 언제든지 질문에 대한 답변을 받을 수 있으며, 조직은 자동화된 면접 시스템을 구축해서 자기소개서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인적 자원 부서에서 근무하는 담당자의 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결국 인적 자원 부서와 기업과 같은 조직이 어떻게 ChatGPT를 활용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당신의 조직에서 어떻게 chatGPT를 활용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