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 Trend “ESG 시대, HR의 역할”

HR솔루션 원티드스페이스

인사 업무 시 필요한 모든 기능은 여기에!

채용에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면

빠르고 정확한 프리랜서 매칭, 원티드긱스로 오세요!

 

ESG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한국에서도 거의 대부분의 상장 기업들이 ESG 위원회를 설치하고 있을 정도로 대유행이라고 
할 수 있다.

ESG의 각 영역은 직간접적으로 HR과 관련이 있다. 직접적으로는 Society 영역이다. 
구성원들의 급여, 복리후생, 고용 등은 물론 인권이나 노동관행, 나아가 산업안전 등은 
HR부서에서 직접 다루어야 하는 이슈들이다.

ESG 활동을 하는 주체는 결국 사람이다. 
우수한 인재들이 들어와서 올바르게 목표를 수립하고, 업무활동을 해야만 ESG가 지속가능하다. 
따라서 채용, 평가, 보상 등 전통적인 HR 활동들이 모두 관련될 수밖에 없다.

ESG 경영을 도입하기로 한 기업의 HR은 회사의 모든 규정들이 ESG 경영방침과 일치하는지 
점검해야 한다. 취업규칙 상에 인권을 침해하는 소지는 없는지, 
혹은 교대제도나 근무시간 규정이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지는 않는지 체크해야 한다.

평가와 보상은 직접적으로 구성원들의 행동을 ESG경영과 일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구성원들의 KPI에 환경을 보호하거나 이해당사자들의 요구를 반영하도록 할 수 있다. 
보상의 경우 인센티브 제도를 도입하면서 경제적인 이익에 초점을 맟춰왔던 것을 
가치를 높이는 활동에 높은 점수를 부여할 수도 있다.

ESG경영과 관련하여 특히 주목하는 것은 리스크와 관련된 조직문화이다. 
관행적으로 해왔던 직장내 괴롭힘이나 하도급 업체에 대한 갑질 등은 외부에 드러났을 때 
파장이 엄청나며 이미 되돌리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ESG의 각종 활동은 구성원들의 행동과 태도에 내재되어 있어야만 실효성이 있고, 
지속가능하다.

ESG의 리스크는 그동안 기업이 아무리 잘해왔다고 하더라도 
단 한번의 실수로 명성이 하루 아침에 무너질 수 있다는데 있다. 
구호로만 하는 ESG 활동이 한계를 보일 수 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해당 게시물은 월간인사관리 10월호 기사를 재편집한 내용입니다.

공유하기

채용에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면

빠르고 정확한 프리랜서 매칭, 원티드긱스로 오세요!

보러가기
Subscribe
Notify of
0 개의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인살롱 인기글

freelance, freelancer, idea-2906725.jpg

[채용담당자로 살아남기]5. 처우협상에서 자꾸 도망가요

경력채용 프로세스 중 가장 힘든 단계는 언제일까요? 대부분 채용담당자들은 아마 초기단계인 후보자 유입과 마지막 단계인 처우협상을 꼽을 것 같습니다. 저

[실용조직문화] 권력거리가 작은 조직은 목표달성에 집중할 수 있다.

지난달에는 제가 인상깊게 읽었던 조직 내 권력거리에 관한 글을 소개하고, 사회에서 경험한 권력거리의 모습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제가 경험한 리더들이

원티드 HR 앰배서더 2기를 소개합니다 🤟

2020년 6월부터 6개월간의 1기 앰배서더 활동이 마무리되고, 2기 모집을 시작했더랬죠. 1기 모집 때의 2.5배 정도인 254명이 HR앰배서더에 지원해주셨어요. 원티드 채용사업팀은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Scroll to Top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