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BP STARTER GUIDEBOOK 1 : ROLE
INTRO
안녕하세요 IT회사에서 HRBP 길을 걷기 시작한 원티드 앰버서더 6기 육민호라고 합니다.
인살롱 필진 4기로 합류하면서, 새로 맡은 직무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하던 중 제가 시작 단계에서 고민하는 내용들을 공유드리고 싶었습니다.
이를 통해 새로운 포지션인 HRBP를 하게 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 저 스스로도 내용을 정리하고 학습하는 과정에서 성장하고자 주제를 정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처음 스터디에 참여한 프로그램의 이름이 Next HRBP였던 만큼이나, 전략적인 파트너가 되길 바라고 HR 커리어를 시작하였습니다.
주니어 인사 담당자 분들께도 전략적 관점에서 전체 환경의 변화와, ESG / DEI 등 새로운 시장의 요구, 인적 자원의 변화에 맞추어 업무를 변화 주고 계실 것이라 생각하며 이 컨텐츠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HR Business Partner
최근 스타트업과 대기업/글로벌 기업들을 중심으로 HR Business Partner 포지션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과거의 행정적 HR 영역에서 벗어나, 관리, 전략과 기획의 범위에서 전체 비즈니스에 영향을 주는 파트너로 HR의 중요도가 증가한 것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경영학에서는 3M (Man, Money, Material)을 관리해야 한다고 이야기하는데, Money의 중요성 만큼 CFO 등 재무관련 파트너들은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CHRO(CHO)가 뒤늦게 등장하는 등 오히려 사람의 중요성이 뒤늦게 조명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HRBP는 과연 무슨 일을 수행할까요?
HR Business Partner’s Role
다양한 분야에서 CEO 및 경영진을 대신하여 HR 분야의 평가와 업무를 담당합니다. 아래 내용은 Coursera의 HRBP Typical Duty입니다. (출처 : https://www.coursera.org/articles/hrbp)
- HR 지표 분석 및 평가
- 인사기획 및 전략 제시
- 내부 인력 모니터링 및 보고
- 교육 니즈 파악 및 역량 개발 프로그램 평가
- 직원의 어려움과 관계에서 비롯된 문제 해결
- 내부 리더 및 동료와의 관계 구축
- 조직문화의 주도
- 다양성과 포용을 위한 노력
- 직원을 브랜드 앰버서더로 활용
또한 구글은 커리어 페이지 기준 People Roles의 8가지 중 하나로 HRBP를 표준화 하여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출처 : https://careers.google.com/teams/people)
구글은 전략적 파트너로 활동하길 기대하며, Talent Advisor 역할 및 피플 관련 프로그램들을 만들고 실행하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전체적인 우리 기업의 일련의 Business Outcome – Business Driver – Employer Driver – HR Practice/Process로 연결되는 과정에서 우리의 비즈니스 결과물을 어떤 것에 집중할 지 결정 된 전체 전략을 바탕으로, HR 제도와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운영하는 파트너의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HRBP로써의 현재 역할
저는 현재 기업에서 HRBP로 5가지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ㆍHR – Recruiting, HR Planning, Onboarding, etc.
ㆍGA – 복리후생 및 근무환경 관리
ㆍ자산관리 – 임대차 및 유무형 자산관리
ㆍ시스템운영 – HW/SW 관리
ㆍ관계사 업무
이처럼 각 기업마다, 규모마다, 그 기업의 Stage에 따라 요구 받는 역할이 다릅니다. 하지만 기업의 전략적 파트너로써 특정 역할에만 집중되어 있지 않고, 경영의 허들을 제거하고 더 나은 결과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새로운 업무에 대한 적응과, 빠른 학습능력이 필요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전체 시장의 트랜드를 살펴볼 수 있어야 하며, 꾸준한 학습과 업무에 대한 적응을 완수하고 그 결과를 추적해서 피드백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앞으로 HRBP Starter Guidebook에서는 매월 다른 주제로 컨텐츠를 게시드릴 예정입니다.
ㆍ2편 : Structure – 조직설계와 구조에 대한 이해를 통해, 우리의 산업과 기업은 어떤 구조를 지향하고 있는지, 조직의 형태들과 작동 방식
ㆍ3편 : Framework – 기업의 결과물부터 HR까지 연결되는 4개의 프레임워크
ㆍ4편 : Make or Buy – 채용과 교육의 Tradeoff와 전략
ㆍ5편 : Data & Automation – 데이터의 기초적인 분석과 자동화를 적용할 수 있는 분야
ㆍ6편 : ESG & DEI – 글로벌 트랜드 및 요구의 변화
앞으로의 시리즈를 기대해주세요 ! 감사합니다.
Colorverse 공식사이트 / 채용 사이트
Linkedin
Insta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