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인사팀’이 싫습니다

신규기업 추천하면 60만원!

추천인과 신규 가입자 양쪽에 30만원씩 최대 60만원 지급

HR솔루션 원티드스페이스

인사 업무 시 필요한 모든 기능은 여기에!

나는 현업팀장이다. 도매유통 사업의 영업을 맡고 있다. 주중의 나의 아침은 전일 배송에 대한 채널 고객(소매상)의 클레임으로 시작한다.

“어제 주문한 거에서 A는 안 왔고, B는 수량이 적어요. 오늘 납품해야 하는데 어떻게 할 거예요?”

“현장에서 물건 내리고 있는데, 실측해보니 미터 수가 적게 나오고, 인쇄된 잉크가 눌어붙었는데 이거 누가 책임질 겁니까?”

한참을 실랑이 하고 있는데 인사팀장한테 문자 한 통이 띡~ 온다.

‘금일까지 작년 인사평가 자료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아… 오늘까지였나보네. 바빠 죽겠는데, 언제 이걸 하고 있나. 이렇게 매일 욕먹으면서 돈 벌고 있는 내 사정을 인사팀은 알까 모르겠다.’

순간, 인사팀장과의 최근 언쟁이 생각났다.

“강 팀장님, 제발 사람 좀 잘 뽑아 주세요. 뽑아 놓으면 나가고, 뽑아 놓으면 나가고, 이게 몇 번째에요?”

“아니, 김 팀장님도 면접에 참여하셨잖아요! 채용 후에 관리는 현업부서에서 잘하셨어야지, 왜 애꿎은 인사팀 갖고 뭐랍니까?”

꾸역꾸역 직원 평가 양식을 채워 넣고 있는 영업팀장의 생각에는 인사팀이란 그저 책상머리에서 자기가 벌어다 준 돈으로 월급만 타가는 인간들 같다. 그런 와중에도 영업팀장의 휴대폰은 고객들의 전화로 쉴 틈이 없다.

 

나는 현업팀이 싫습니다

나는 인사팀장이다. 지금 방금 다음 주에 있을 월간회의 자료를 CEO에게 보고하러 갔다가 심하게 한 소리 들었다.

“면접 과정을 강화하라고 했는데, 현업팀장들의 면접관 스킬은 하나도 발전을 하지 않은 것 같은데?”

나는 절차에 따라 채용 과정을 진행했을 뿐이고, 팀장들한테 사전에 충분히 공지했는데 왜 인사팀만 갖고 뭐라고 하시는지 이해가 안 된다. 생각해보니 최근 채용 전형 시에 면접관 교육을 여러 번 실시했던 기억이 났다. 하지만 영업팀에서 일이 터졌다. 새로 온 영업팀장에게 전임 팀장이 관련 인계를 하지 않은 탓이다.

‘맨날 자기들 편한 대로만 빠져나가려고만 하잖아. CEO는 원칙을 고수하라는데 우리 때문에 일을 못 하겠다고 난리를 치니, 가운데서 우리가 어쩌란 말이야.’

‘이것 봐봐. 아직 영업팀은 인사평가 자료를 제출하지 않았어. 시한 좀 맞춰서 협조해주면 어디가 덧나나?’

그는 주섬주섬 휴대폰을 꺼내 독촉 문자를 보낸다.

 

부서 갈등의 이유

위와 같은 이야기를 들려주고 갈등의 원인을 물어보면 협업팀장, 인사팀장 각자의 입장에서 둘 다 이해된다거나, 협력 마인드가 부족하다는 반응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정말 그것뿐인가?

현재 대부분의 조직이 차용하고 있는 ‘계선(Line) + 참모(Staff)’ 조직은 상호견제와 균형을 위해 만들어졌다. 따라서 이 둘 간의 갈등은 구조적으로 자연스러울 뿐만 아니라 권장돼야 할 사항이다.

만약 우리 회사에 갈등이 없다면 어느 일편이 주도권을 완전히 장악해버린 상황일 수 있다. 회의 때마다 논쟁 없이 무난한 결정이 이뤄지고, 모두 웃으면서 회의실을 나선다면 타성과 무사안일주의가 만연하진 않았는지 살펴봐야 한다.

(다음 글에서는 계선 및 참모 조직 간의 ‘의미 있는 갈등’에 대해 살펴 봅니다)

공유하기

신규기업 추천하면 60만원!

추천인과 신규 가입자 양쪽에 30만원씩 최대 60만원 지급

보러가기
Subscribe
Notify of
4 개의 댓글
Newest
Oldest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부시리
멤버
부시리
1 년 전

다음 글이 너무 기다려집니다.

닝빵
멤버
닝빵
1 년 전

좋은 글 감사합니다!

인살롱 인기글

조직문화 같은 소리하고 있네

저도 조직 문화를 잘 모릅니다만…     ‘조직 문화’라는 키워드를 제 인생의 중심에 놓고 살고 있습니다. 내세울 만한 조직 문화가

채용할 결심(1)_주니어 채용담당자는 어떻게 성장해야 할까요?

“주니어 채용담당자는 어떻게 성장해야 할까요?” 들어가며   인살롱과의 첫인사를 어떤 주제로 하면 좋을지, 썼다 지우기를 십수 번 반복한 끝에 떠오른

채용 브랜딩을 왜 하실건데요? [스타트업 밑바닥 HR ③]

점차 조직의 ‘핵심 생산수단’인 인재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바야흐로 리크루팅 전쟁기가 펼쳐지고 있다. 높은 연봉과 매력적인 근무 환경, 노동자의 권리를 최대한 챙긴 복리후생까지 다양한 유인책도 나온다. 그럼에도 각자의 조직에 맞는 방법들은 다 다르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스스로를 알고 난 이후 명확한 이유(WHY)를 도출하고 그걸 어떻게(HOW), 그리고 무엇을 해서(WHAT) 만들어 나갈 지 살피는 게 순서라고 생각했다. 이후에 명확한 목적지를 정하고, 그 여행에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