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기업 추천하면 60만원!

추천인과 신규 가입자 양쪽에 30만원씩 최대 60만원 지급

신규기업 추천하면 60만원!

추천인과 신규 가입자 양쪽에 30만원씩 최대 60만원 지급

조직과 구성원의 성장과 성과는 리더의 그릇 크기에 달려 있다.
조직장의 역할을 강의하면서 가장 먼저 하는 말이 바로 ‘조직과 구성원의 성장과 성과는
그 조직을 맡고 있는 리더의 그릇 크기에 달려 있다’ 입니다.
어떻게 생각하세요?

1명을 먹여 살리는 그릇과 100명, 1만 명을 먹여 살리는 그릇은 다르지요.
다른 사람은 어떻게 되든 자기 자신의 이익만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은 리더가 아니지요.
자신이 속한 조직과 직원만 생각하는 리더가 있습니다. 이들이 생각하는 것은 인류 사회의 공헌,
회사의 지속 성장은 관심이 없습니다. 자신이 근무하는 동안 최대한 이익 추구만 생각합니다.
그 다음 자신이 속한 회사가 경쟁력을 잃든 망하든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들은 회사를 떠난 다음,
근무했던 회사에 대해 좋게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자신에게 더 많은 혜택을 주지 않은 것에 대한 불만만 있습니다.

 

강의하면서 참석자에게 어떤 리더에게 실망하는가 질문했습니다. 대부분 리더에게 실망하는 경우는
전체를 보지 못하고 자신의 역할도 제대로 수행하지 않고 오로지 개인 이익만 추구하는 경우였습니다.
다음 20개 문항 중 나의 리더는 몇 개가 해당되는가 살펴 보세요.
① 앞으로 무엇으로 먹고 살지 확신을 주지 못하고, 그저 열심히 하라고 할 때
② 장/단기 관점을 모두 강조하지만 실질적으로는 단기 관점의 의사결정 때
③ 경쟁사보다 먼저 하자는 의견을 당장 사업성이 없다며 무시할 때
④ 동일한 사안에 대해 세세한 사항을 챙기느라 일이 진행 안 될 때
⑤ 업무에 대해 핵심이 아닌 세세한 내용까지 관여 할 때
⑥ 해당 본부 책임자 입장에서만 생각, 전사 관점/ 경영자 관점에서는 생각 안 할 때
⑦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정작 방향과 내용의 구체성이 없을 때
⑧ 위에서 한 가지 지시하면 전략 없이 직원에게 열 가지 일을 시킬 때
⑨ 양심이나 이치에 맞지 않는 행동을 할 때
⑩ 업무상 일이 아닌 것 같은데 법인카드를 남용할 때
⑪ 사무실, 술자리에서 음담패설 등 매너가 좋지 않은 모습을 볼 때
⑫ 올바른 진행 방향을 찾기 보다 위의 의중에 맞춰 논리를 만들 때
⑬ 소신에 따라 설득하기 보다는 위에서 시키는 대로 결정을 내릴 때
⑭ 이리 해라, 저리 해라 지시만 하고, 담당자 생각은 경청 안 할 때
⑮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지 않고, 잘못된 점만 지적할 때
16 자신의 경험/전문성만 옳다고 믿고, 정해진 결론만 고집할 때
17 일에 대한 실수를 가지고 성격이나 자질까지 언급할 때”
18 팀워크, 갈등해소, 동기부여 등 오로지 회식(술)으로 해결하려 할 때
19 외부 세미나에 얼마나 참여하고, 책은 몇 권 읽으시는지 묻고 싶을 때
20 회사 임원들, 상사와의 저녁식사에 참석하는 것이 고객, 외부기관 약속 보다 우선시 될 때

 

리더가 눈 앞의 이익에 급급하여 해서는 안되는 일을 합니다. 자신을 믿고 따르는 직원에게
잊기 어려운 상처를 줍니다. 강자에게는 비겁하고 약자에게는 무자비하고, 능력과 무관하게
자기에게 잘하는 사람만 챙깁니다. 자신이 잘못한 일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하며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방향 제시와 결정, 조직과 직원의 성장은 무시하고 단기 실적만 추구하면 조직과 구성원은 망하게 되지 않을까요?

어떤 리더가 조직과 구성원으로부터 인정과 존경을 받을까요?
조직과 구성원이 인정과 존경 받는 리더를 정리한 결과, 크게 일과 사람 관계로 구분할 수 있었습니다.
일에 있어서는 단연 높은 전문성입니다. 방향 제시와 의견 결정의 탁월함, 명확하고 공정한 업무 분장이 많았습니다.
사람 관계에 있어서는 좋은 품성(성격)을 바탕으로 직원들의 동기부여와 배려를 해주며 성장 시키는 리더였습니다.

조직과 구성원으로부터 인정과 존경 받는 그릇 크기가 큰 리더의 특성입니다.
 저 분 밑에서 일하면 내가 성장할 것이라는 개인의 비전을 줄 때
 기존 일의 유지/개선보다는 새로운 일, 성장에 대한 시도에 치중할 때
 실패 위험에도 불구하고 책임지겠다며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 미처 생각지 못한 큰 그림의 중요한 부분을 바로잡아줄 때
 믿고 따라도 되겠다 싶은 청렴한 인품을 가진 분
 윗사람에게 당당한 모습, 올바른 의견을 개진하는 모습을 볼 때
 최 상위 층의 의중을 제대로 파악하고 소신을 가지고 지시할 때
 타 본부와 원만한 교류 및 부서간 이견을 원활히 풀고 일을 추진할 때
 구성원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에 인간적인 소통 및 편한 대화의 기회를 줄 때
 누가 뭘 잘 할까? 구성원 개개인을 포용하고 지원해줄 때
 실수를 감싸주며, 뭘 배웠냐고 물어줄 때
 업무 내외로 다양한 교양과 주제를 가지고 계실 때

 

리더의 그릇은 올바른 가치관(품성)을 바탕으로 높은 전문성이 있어야 합니다.
전문성이 없으면 조직과 구성원에게 휘둘림을 당하지요. 여기에 열린 소통 역량은 기본입니다.
소통을 통해 개개인에게 관심을 갖고 꿈과 열정을 키워줍니다. 마지막 성과입니다.
기업은 친목 단체가 아니기에 성과를 창출해야만 합니다. 아무리 좋은 인성, 높은 전문성,
소통 역량이 뛰어나도 성과가 없는 리더는 곤란합니다.
성과가 높은 리더는 혼자 일하지 않습니다. 길고 멀리 보며 조직과 구성원의 성장을 이끌며 성과를 창출합니다.

리더는 외롭지요. 하지만, 리더는 함께 하는 조직과 구성원에게 좋은 사람이라고 인정받기 보다는
조직과 구성원의 가치를 올리고 성장하고 성과를 내는 사람이라는 평을 들을 때 기쁘답니다.

공유하기

HR솔루션 원티드스페이스

인사 업무 시 필요한 모든 기능은 여기에!

보러가기
Subscribe
Notify of
0 개의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인살롱 인기글

모두가 편안한 RPA 온보딩 프로세스 🤩

온보딩 프로세스는 왜 하는것일까? 온보딩 프로세스는 1970년대에 처음 등장한 단어로 “On board(승차, 탑승)”라는 단어를 연상해서 본다면 이해하기 쉽다. 회사에서 말하는

Coaching Leader가 된다는 것 ⑨ _성공하도록 도와주는 코칭 리더 ‘목표 다음은 CSF‘

’코칭 리더에게도 목표가 중요할까?’ 많은 사람들이 라이프 코치와 비즈니스에서의 코칭 리더를 오해하곤 합니다. 라이프 코치는 오로지 내담자의 성장과 성공을 응원하죠.

게임회사 첫 조직문화 담당자 정착기: 매뉴얼 없는 직무, 첫 조직문화 담당자는 뭘 해야 되나요?

처음부터 조직문화 담당자가 되려고 했던 것은 아니었다. 처음에는 교육 담당자로 들어와서 업무 범위가 서서히 넓어지더니 ‘지식관리’ 담당자에서 ‘조직문화’ 담당자로 불리는게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