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이론으로 살펴본 테슬라와 일론머스크

HR솔루션 원티드스페이스

인사 업무 시 필요한 모든 기능은 여기에!

채용에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면

빠르고 정확한 프리랜서 매칭, 원티드긱스로 오세요!

미국연방준비위원회의 금리 인상에 의한 경기침체 및 자산 가격의 하락은 22년의 주요 화두 중 하나였습니다.

특히 ‘테슬라’와 CEO ‘일론머스크’는 최근 급격한 주가 하락으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주식투자와는 별도로 리더십의 관점에서 CEO 일론머스크에 대해 살펴 보고자 합니다. 일반인이 이해하기 힘든 기행과 천재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일론머스크는 ‘카리스마리더십’의 전형입니다.

카리스마리더십은 1980년대 이후 등장한 현대적 리더십의 한 종류로 80년대 이전의 거래적 리더십(리더가 부하의 개인적 이익에 호소하여 동기부여 하는 것)과는 달리 현대적 리더십은 부하의 가치관과 정서에 호소하고 조직의 비전을 제시하는데 집중합니다.

베버는 카리스마리더십에 대해 중세 유럽의 왕의 예를 들어 백성들의 자발적 복종과 사회질서의 신성화, 영웅적 힘에 대한 애착 등을 특징으로 들었습니다. 에치오니는 베버와 달리 카리스마리더십에 대해 영웅적 힘 보다는 전문성에 주목하고, 리더와 구성원의 관계에 집중하였습니다.

하우스는 카리스마리더행동으로 가치관과 신념의 전달, 이미지구축 및 동기유발 등을 꼽았고, 위기 상황 시 카리스마리더십의 효과가 크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콘거와 카눙고는 구성원의 인식 관점에서 카리스마리더십의 유/무를 구분하였고, 부하들이 리더를 우상화하고 리더의 태도와 신념을 자기의 것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카리스마리더십이 형성된다고 보았습니다.

샤미르는 카리스마리더십이 급여나 보너스와 같은 외재적 보상 보다는 자기효능감, 자아가치감과 같은 내재적 보상을 통해 구성원들의 자아개념을 변화시키고 행동변화를 유도한다고 정의하였습니다.

위 카리스마리더십에 대한 다양한 학자들의 의견을 종합해 보면 복종 및 지배, 전문성, 가치관 및 신념전달, 환경변화에 대한 민감성, 내재적 보상 등의 키워드를 뽑을 수 있습니다.

테슬라 및 일론머스크의 팬들은 단차 등의 하드웨어적 품질 문제에도 불구하고 자율주행이나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등의 비전에 집중하여 제품을 구매하고, 테슬라 주식을 매수하고 있습니다. 이는 구성원들의 가치관을 변화시켜 자발적 복종을 이끌어 낸다는 점에서 카리스마리더십의 특성을 나타냅니다.

일론머스크는 미국의 대표적 핀테크 기업인 Paypal 창업자 출신으로 신재생에너지, 항공우주, AI, 자율주행 등의 첨단 산업 분야에서 엔지니어로서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비트코인의 에너지 과다 사용 논란이 일자 비트코인 결제수단 활용을 철회하였으며, 중국의 기업 규제에 대응 해 중국 내 투자와 연구개발 확대 입장을 밝히는 등 외부 환경변화에 대한 민감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테슬라는 AI-Day를 열어 ‘테슬라 봇’ 개발 계획을 발표하고 AI 기술의 상용화에 대한 꿈을 AI 엔지니어들에게 전파하여 테슬라에 합류하도록 권유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일론머스크가 물질적 보상 보다는 일을 통한 ‘자아실현’의 장을 만들어 인재를 확보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는 카리스마리더십의 장점을 주로 이야기 하였습니다. 하지만 카리스마리더십의 단점도 분명히 존재하고, 최근의 테슬라와 일론머스크에 대한 부정적 이슈 또한 카리스마리더십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콘거는 카리스마리더십의 문제점에 대해 다음과 같이 지적하였습니다.

“리더의 자아도취로 자신이 타인을 조종하고 이용할 수 있다는 오판으로 타인과의 협력관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고, 비관습적 행동으로 전통적 업무수행에 익숙한 사람들을 소외시킬 수 있다. 또한 비전에 집중한 나머지 비전의 객관적 평가나 실행에 소홀할 수 있고 경영승계 계획의 약화로 리더 퇴임 시, 조직 내 리더십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트위터 인수 후 보여주는 대량해고 및 언론사나 정치권과의 대립, 일론타임으로 대표되는 신차종 및 서비스 출시 지연, 과장된 실적 예측 등의 부정적 사건들이 떠오르지 않으신가요?

테슬라의 투자자나 임직원들은 이와 같은 리스크에 대해 인지하고 대비하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리더십 관점에서 테슬라와 CEO 일론머스크를 살펴보았습니다. 투자나 비즈니스모델 외에 HR 관점에서도 다양한 이야기 거리가 있는 동 기업에 대해 꾸준히 연구해보고자 합니다. 일론머스크와 직접 인터뷰하지 못한 아쉬움으로 가상의 인터뷰와 함께 본 글을 마치겠습니다.

 

“일론, 테슬라에서 3년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가요?” (저자)

 

“인류를 구원하는 것 입니다. 화석연료로부터 완전히 단절을 선언해야 할 타이밍이에요.” (일론)

 

“환경보호가 중요한 것은 알겠는데, 그것이 3년내 달성할 수 있는 목표로 보이지는 않는군요.” (저자)

 

“그러면 Sustainability 라고 해 두죠. 인류의 영속성 그리고 테슬라의 영속성” (일론)

 

“좋습니다. 지속경영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테슬라의 안정적 재무구조에 대해 얘기를 해 보시지요. 전기차 1000만대 생산을 위해 앞으로 투자해야 할 금액이 현재의 영업이익 수준으로 충당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유상증자를 더 할 필요가 있다고 봐요. 다만, 유상증자로 인한 주가 하락을 방어할 명확한 메시지가 필요합니다.” (저자)

 

“3년 내 달성가능한 비전과 관련해서 주주와 고객들에게 주고 싶은 Key Message는 3가지 입니다. 1) 배터리제조 혁신으로 내연기관차량보다 저렴하게 전기차를 운전할 수 있게 하겠다. 2) 집에서 30분 이내 거리에 에너지충전/저장인프라를 완성하겠다. 3) 고속도로에서 영화를 보면서 장거리 운전을 즐길 수 있는 자율운행시스템을 완성하겠다.” (일론)

 

“메시지가 전보다 훨씬 심플하고 명확하네요. 소비자들이 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이익을 주는 것들이니 주식시장에서도 어필할 것으로 보입니다. 요즘은 소액주주들의 발언권이 세기 때문에 ‘소비자=주주’ 라고 이해해도 무리가 없을 것 같아요. 이와 더불어 트위터 운영은 이제 전문경영인에게 맡기고 테슬라 경영에 집중을 부탁드립니다.” (저자)

공유하기

신규기업 추천하면 60만원!

추천인과 신규 가입자 양쪽에 30만원씩 최대 60만원 지급

보러가기
Subscribe
Notify of
0 개의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인살롱 인기글

뉴노멀 시대가 원하는 Top Tier 인재의 조건

인재는 재주가 뛰어난 사람을 뜻하는 인재(人才)와 학식이나 능력이 뛰어난 사람을 일컫는 인재(人材)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후자는 특정 업무에

재택근무제 도입·운영가이드(1. 도입편)

재택근무, 다른 회사는 어떻게 하고 있나요? 코로나19로 재택근무를 실시하는 회사가 점점 늘어나면서 많이 받는 질문이다. 갑작스럽게 또는 반강제적으로 재택근무를 도입하게

글로 배운 리더십 : ①팀장의 ‘나에게 솔직한 피드백을 해줘’가 팀원을 불편하게 한다.

글로 배운 리더십.   자동차 대기업에서 인사팀장으로 근무했습니다. 딱딱한 기업 문화 속에서 뭐라도 해보고 싶은 마음에 책이나 강연에서 배운 것들을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