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조직행동론은 ‘커뮤니케이션(=의사소통)은 구성원 간 의미전달로 풀이’한다. ‘의미’는 메시지 이름이고, ‘전달’에는 ‘메시지 도착’이란 뜻과 함께 ‘메시지 이해’까지 포함하고 있다. 또한 ‘집단은 의사소통을 하지 않고는 존재할 수 없다’라고 말한다.
조직행동론 커뮤니케이션 연구 대부분은 ‘커뮤니케이션과 조직 효과성 달성’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쓰기·읽기·말하기·듣기는 작업시간의 70%’를 차지하는 만큼, 이들 중 조직의 성과를 방해하는 것이 있다면, 그것을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결여’라는 결론을 내려도 무방하다고 말한다.
집단 또는 조직 내에서 ‘커뮤니케이션(=의사소통)’은 4가지 기능을 갖고 있다.
첫째, 통제 기능은 구성원 행동을 통제하는 것을 말한다.
①권한계층과 공식적인 지침 ②직무기술서 ③경영자가 회사 방침에 순응할 것을 요구할 때 ④비공식적 의사소통(호손 공장 4차 연구 결과)은 모두 구성원 행동을 통제하는 의사소통 기능이다.
둘째, 동기유발 기능은 구성원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성과 개선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려줌으로써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다. 이는 동기이론 중 ‘목표설정 이론’ ‘강화 이론’을 참고 할 수 있다.
셋째, 감정표현 기능은 집단 내에서 구성원은 좌절과 만족감을 표출한다. 이는 집단 내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본적인 메커니즘이다.
넷째, 정보 기능은 개인과 집단이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 네 가지 기능은 집단이나 조직(혹은 팀)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앞서 말한 커뮤니케이션과 조직 효과성 달성 목적은 바로 이 네 가지 기능에 대한 연구를 말한다.
조직 커뮤니케이션 연구자 코멘트
* Simon(1945) 커뮤니케이션이 없다면 조직이란 있을 수 없다.
* Bonni McDaniel Johnson(1977) 일정한 성과(통합과 정보)를 갖는 커뮤니케이션이다.
* Lewis(1979) 조직구조 속에서 개인 간 또는 집단 간 정보전달의 기술이나 메시지를 통하여 ‘관념’ ‘메시지’ ‘태도’를 공유하는 것
2. 학문적 연구 모형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어원은 ‘함께’,’공동’의 의미를 지닌 앞 글자 CO, ‘공동으로 만든다(Common).’라는 뜻의 라틴어 ‘Communis’에서 유래되었다. Communication은 ‘생각, 느낌 등의 정보를 주고 받고 나누는 것’을 말한다.
맬러츠(Maletzke)는 이를 두고 ‘생물체간 의미의 전달’이라 했고, 사회학자 쿨리(Cooley)는 ‘인간관계가 존재하고 발전하는 매커니즘(mechanism), 정신의 모든 현상과 그 상징을 전하고, 시간적으로 보존하는 수단’이라고 정의 했다.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1950년 초기를 고전적 접근, 1970년 초기를 현대적 접근이라고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1950년 초는 커뮤니케이션이 수사학, 화법 혹은 저널리즘 분야에서 벗어나 커뮤니케이션을 본격적인 학문의 연구·학문 영역을 구축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 커뮤니케이션의 연구 영역으로 개척한 인물이 정치학자인 라스웰(H. Lasswell)이다.
라스웰은 2000년 전 아리스토텔레스의 대화법에 기초하여 ‘누가, 누구에게, 어떤 채널로, 어떠한 효과를 가지고 말하는가?’ 라는 모형을 만들어 커뮤니케이션을 설명하였다.
① 고전적 연구모형
연
구자 |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모형의 정의 |
라스웰 | 누가(화자), 무엇을(메시지), 어떻게(채널), 누구에게(청중) 말하는가 |
셰넌과 위버
(C.E.Shannon & W.Weaver) |
셰넌은 ‘주어진 의사전달 수단을 통해 어떻게 하면 최대의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는가?’에 중점을 두어, 송신자는 내용을 개념화·부호화 하여 전달하고, 수신자는 부호화된 내용을 해석하는 과정을 모형화하였는데 이 모형에서는 부호화(encode), 해석(decode)하는 과정과 커뮤니케이션 경로 별 장애요인을 도출하고 장애를 제거하고자 함
위버는 ‘특정한 전달수단을 이용할 경우 얼마만큼의 정보가 전달 가능한가?’에 초점을 맞춤. 즉 위버는 커뮤니케이션에서 의미적 소음(semantigue nosie)과 물리적 소음(physigue noise)으로 구분함 |
슈람
(W.Schramm) |
전달자와 수신자가 공통(common)부분을 형성해 나가는 작업. 즉 공통언어, 공통배경, 공통문화 등의 조건이 없다면 메시지가 옳게 전달될 수 없다는 점을 강조 |
② 현대적 연구모형
1970년 초는 조직행동, 경영, 리더십 등과 관련한 조직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커뮤니케이션의 연구도 급 성장하게 되었다.
연구자 |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모형의 정의 |
벌로
(D.Berlo) |
메시지 자체는 요소보다는 주로 보내는 사람의 몸짓과 사용단어 그리고 듣는 사람의 생각, 기대, 경험 등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는 점을 강조 |
위너
(N.Wiener) |
셰넌의 개념에 피드백 개념을 추가한 순환모형을 만듦
송신자의 커뮤니케이션 내용의 부호화(encoding), 수신자의 해석화(decoding) 및 피드백(feedback)의 3단계로 모형화 함 |
베른
(E.Berne) |
1950년대 베른에 의해 상호교류분석(transactional analysis)이 개발 되었고, 1960년 말 해리스(T.A.Harris)에 의해 교육훈련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 보편화 됨
상호교류는 대인관계를 의미하며, 모든 사람은 세 가지 자아상태 즉 부모상태(P:parent), 어른상태(A:adult), 아이상태(C:child)를 지니고 있음. 그러므로 사람들은 남들과 대인관계를 가질 때는 3가지 중 하나의 입장으로 행동하며 커뮤니케이션 한다는 점을 강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