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원 성숙도에 따른 맞춤 리더십 : 상황대응 리더십

HR솔루션 원티드스페이스

인사 업무 시 필요한 모든 기능은 여기에!

단기 알바 한 번만 채용해도

급구에서 인건비 최대 2천만원 지원해 드려요!

상황 대응 리더십(Situational Leadership)이란?
만약 리더가 미성숙한 신입사원과 성숙한 베테랑 사원을 똑같은 리더십 스타일로 대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아마도 둘 중 한쪽은 혼란스럽거나 불만이 쌓이게 될 것입니다.
리더십의 대가 폴 허시와 켄 블렌차드(P. Hersey, K Blenchard)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부하의 성숙도에 따라 리더십 스타일을 달리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상황에 따라 리더십 대응 방식은 달라야 한다는 상황 대응 리더십(Situational Leadership) 을 주장했는데
영문 이니셜을 따서 SL이론 이라 부릅니다.

 

성숙도에 따른 4가지 타입의 구성원
SL 이론
에서는 효과적인 리더십 스타일을 결정하는 조건으로 부하의 성숙도란 개념을 활용합니다.
부하의 성숙도란 교육과 경험 등 업무를 위해 필요한 능력 과 업무에 대한 의욕 이 어느 정도인가를 말합니다.
허시와 블렌차드는 능력과 의욕의 차이에 따른 부하의 성숙도를 다음 4가지로 구분했습니다.

  • ① 능력은 낮지만 의욕은 높은 레벨 (성숙도 약간 낮음)
  • ② 능력도 의욕도 낮은 레벨 (성숙도 낮음)
  • ③ 능력은 높지만 의욕이 낮은 레벨 (성숙도 약간 높음)
  • ④ 능력도 의욕도 높은 레벨 (성숙도 높음)

 

(이미지 출처 : 블랜차드 코리아)

 

4가지 리더십 스타일
리더십 스타일은 지시적 행동과 지원적 행동이라는 두 기준에 따라 분류합니다.
지시적 행동 이란 목표 달성을 위해 부하에게 세세하게 지시와 명령을 내리는 것을 중시하는 행동입니다.
반면 지원적 행동 은 부하와의 커뮤니케이션이나 회사 내 화기애애한 분위기 조성을 위해
인간 관계를 중시하는 행동입니다.
이 두 가지 기준의 조합에 따라 4가지 리더십 스타일이 완성됩니다.

  • ① 지시적 리더십 (Directing) : 지시적 행동의 비율이 높고 지원적 행동의 비율은 낮은 리더 주도형 타입.
    계획, 역할 분담, 작업 방법 등을 리더가 전부 결정한 뒤 부하직원에게 세세하게 지시하고 명령한다.
  • ② 설득적 리더십 (Coaching) : 지시적 행동과 지원적 행동이 모두 높은 불완전한 리더 주도형.
    계획, 역할 분담, 작업 방법 등을 리더가 결정하지만 명령이나 지시를 내릴 때에는 부하직원이 납득할 수 있도록 충분히 설명을 한다.
  • ③ 참여적 리더십 (Supporting) : 지원적 행동의 비율이 높고 지시적 행동 의 비율이 낮은 불완전한 부하 주도형.
    계획, 역할 분담, 작업 방법 등에 대해 리더의 도움을 받으면서 부하직원이 결정한다.
  • ④ 위임적 리더십 (delegating) : 지시적 행동과 지원적 행동 모두 비율이 낮은 완전 부하 주도형.
    리더는 거의 참견하지 않고 부하직원이 자유롭게 업무를 진행한다.

 

Conclusion 
사람은 모두 다릅니다.
성격적인 면에서만 아니라 업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업무수행에 대한 준비의 정도에 따라 리더의 행동도 달라야 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많은 리더가 자기 판단이나 성격에 따라 직원들에게 같은 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구성원들의 능력을 높여 주려면 직원들 각 개인에 맞는 리더십이 필요합니다.
그렇다고 모든 직원들 각자의 성향을 파악하는 것은 비현실적입니다.
자기가 속한 조직에서 리더십 발휘에 곤란을 느끼는 경우라면 상황대응 리더십 4가지 스타일을 참고하면 어떨까요?
분명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공유하기

HR솔루션 원티드스페이스

인사 업무 시 필요한 모든 기능은 여기에!

보러가기
Subscribe
Notify of
0 개의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인살롱 인기글

HR을 꿰뚫는 조직문화

요즘은 ‘회사’가 대화의 주제에 끼어있는 자리에는 ‘조직문화’라는 워딩이 빠지지 않고 등장을 하고 있습니다. 취업을 준비하는 취준생들 사이에서도 이직을 생각하는 많은

resume, unemployed, job-2163673.jpg

회사의 첫 채용 담당자는 뭘 해야 하나요?

HR 부서가 따로 존재하지 않다가, 비즈니스가 활성화되고 인력 규모가 늘어남에 따라 HR을 메인으로 담당할 팀과 채용 담당자가 필요한 조직에 합류하게

💌(띵똥) 4기 HR 앰버서더 소개가 도착했습니다~!

  올해도 치열한 경쟁을 뚫고 25명의 HR 앰버서더가 탄생했습니다!   2022년의 새로운 시작을 함께할 원티드 HR 앰버서더, 지금부터 소개해 드릴게요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