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기업 추천하면 60만원!

추천인과 신규 가입자 양쪽에 30만원씩 최대 60만원 지급

신규기업 추천하면 60만원!

추천인과 신규 가입자 양쪽에 30만원씩 최대 60만원 지급

“현실 충격”, 새로운 일의 세계에 진입하는 과정에서 현실 충격을 경험하게 됩니다(Hughes, 1958).

현실 충격을 피부에 와닿게 공감하게 된 경험은 “사쓰마와리”라는 단어를 알게 되었을 때입니다. 언론사에서 HR을 하고 있는 선배로부터 사쓰마와리라는 단어를 처음 들었습니다. 사쓰마와리는 경찰서를 순회한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처음 경찰기자가 되면 선배들은 경찰서로 달려가 경찰서장의 문을 발로 차고 들어가서 반말로 인사하도록 시키고, 한동안 경찰서에서 숙식하면서 생활하는 신입기자만의 문화입니다. 병아리 같은 신입사원을 교육하는 장면에 익숙했던 나에게 발로 문을 차는 신입의 모습은 내가 알던 일의 세계와 기자 세계는 다른 모습이라고 선이 긋는 경험이 되었습니다.

경찰 이야기가 나왔으니만큼, 적응과 사회화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Van Maanen(1975)의 아티클로 좀 더 풍부하게 설명하고자 합니다. 신입 경찰관이 경찰학교를 졸업하고 경찰서에 배치 받게 되면 선배 경찰관으로부터 이런 것들을 배우게 된다고 합니다. ‘눈에 띄는 행동은 최소화하라’, ‘열정은 성공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몸을 낮추고 문제를 피해라’ 외부인으로서 생각했던 모습과는 전혀 다른 행동을 배우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학습의 과정에서 신입 경찰관은 근면 성실에 대한 믿음을 잃어버리고, 동기가 크게 떨어져서 다시는 올라오지 않았다고 합니다. 헌신도 큰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권위주의에 순응하게 됩니다. 경찰이라는 직업에도 불구하고 존경의 욕구를 거의 충족하지 못하게 된다고 합니다. 6개월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선배와 거의 유사하게 행동하게 됩니다. 기존의 멤버십이 만들고 있는 질서는, 새로운 경계에 진입한 멤버에게는 충격으로 다가올 수 밖에 없습니다. Van Maanen(1979)은 신입이 준비가 얼마나 잘 되어있는지와는 관계없이 매일의 질서가 뒤짚히는 적응의 과정을 경험한다고 합니다.

다시 현실로 돌아와서 개인적 사례를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5년차 경력직으로 제조업 회사에 새로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첫 출근 날, 새로운 팀 동료들에게 호기롭게 인사했습니다. 팀장님과 1대1로 잠시 이야기하고, 다른 선배와 회의실에서 이야기하게 되었습니다. 좋은 분위기로 시작했지만, 그 선배는 ‘우리 팀 사람들을 믿으면 안 된다’라고 말했습니다. 첫 퇴근을 하면서 수많은 생각이 들엇습니다. ‘잘못된 선택을 한걸까?’, ‘왜 그런 말을 했을까?’, ‘우리 팀은 도대체 어떤 상황인걸까?’ 불안한 마음으로 앞으로 맞이할 “상황을 정의”하기 시작했습니다. (시간이 지나서 그 선배는 호의적인 마음으로 이야기했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멤버십이 되는 과정은 상황을 정의하는 것입니다(Van Maanen, 1979). 신입은 조직을 아는 것부터 시작해서 일에 참여하는 과정 중 얻게 되는 경험을 해석하기 위해서 규칙과 원칙을 개발해 나갑니다. 상황 안의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통해서 직장 생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유추하고, 선배들이 사용하는 외형, 언어, 제스처 같은 공동의 행동에 참여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신입은 자신의 자아를 제공하며 타인을 위한 역할을 받아들이게 됩니다.

상황 정의를 구성하는 것은 상황을 일반화하기 위한 문화적 프레임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타인이 행동해야 하는 방식과 대응 방법을 예측할 수 있게 되면서, 일반성을 찾아가며 익숙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서 상황 발생에서 초보적인 원인-결과를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경험과 질서, 업무 환경 안에서 관계 형성에 대한 관점을 제공하고, 매일의 사건 아래에서 그라운드 룰을 제공합니다.

멤버십이 되어 가면서(becoming) 상황 정의를 통해서 자기 주위에서 일어나는 것을 “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 때 표현하는 언어는 과거, 현재, 미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됩니다(Van Maanen, 1979).

Schein(1968)은 멤버십이 되는 대가는 학습과 비학습(unlearning)이라고 표현했습니다. 과거의 자아를 해체하고, 수정하고, 재구성하며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야 하는 것입니다. 저에게는 그 대가가 그냥 주어지진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새로운 멤버십에서 “현실 충격”을 경험한 그리고 경험할 여러분, 우리 모두는 충격을 이겨내고 성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출처

Hughes, E. C. (1958). Men and their work. New York: Free Press.
Schein, E. H. (1968).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dustrial Management Review, 8(1), 37-45.
Van Maanen, J. (1975). Police Socialization: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Job Attitudes in an Urban Police Departnnen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0(2), 207-228.
Van Maanen, J. (1979). Pathway to membership: Socialization to work. MA: Andesite Press.

공유하기

조직문화 진단 무료 컨설팅(국비지원)

우리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현명한 선택!

보러가기
Subscribe
Notify of
0 개의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인살롱 인기글

Post COVID 19 New Normal HR

(Post COVID HR New Normal)   1. Less Mobility: 현지 인재 부상과 스마트 팩토리 글로벌라이제이션으로 무수히 연결된 방식의 생활과 경제.

손쉬운부업(easygig) 테스트 글_002

Songhyun Nam은 서울대학교 경영학 학사 학위를 취득한 경영 분야 전문가이다. 그녀는 원티 드랩(주)에서 비즈니스 및 IR 책임자로 일했으며, 11개 기관

상상한 멋진 일이 현실이 되려면 2 : 실현

← 이 이야기는 1편 <상상한 멋진 일이 현실이 되려면 1: 상상>에서 이어집니다.   문화를 만지는 이들이 모두 공감할 이야기는 이런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