꼰대라는 소리 듣지 않고 지적하는 법

HR솔루션 원티드스페이스

인사 업무 시 필요한 모든 기능은 여기에!

채용에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면

빠르고 정확한 프리랜서 매칭, 원티드긱스로 오세요!

 

팀장: 이 대리, 이거 너무 엉망인데?

팀원: 죄송합니다.

팀장: 자료 정리를 아직도 이렇게 하면 어떡해? 보고서 페이지마다 오류 있고 글이랑 이미지가 안 맞는 부분이 다섯 군데가 넘잖아.

팀원: ….

팀장: 아… 내가 이런 것까지 다 가르쳐 줘야 돼?

팀원: ….

 

직설적 비판은 절대 금물이다.

“내가 팀장인데 팀원에게 지적을 하면 안 된다고? ”라고 말할 수도 있다.

하지만 함께 성장하고 발전하자는 의미로 말한 것이어도 말투의 형식이 무례하면 애초의 목적은 결코 달성되지 않는다.

“모두 팀원 잘되라고 하는 말이다” 라는 건 뻔한 변명이다. 자신의 부정적 감정을 위계에 힘입어 손쉽게 분출한 것일 뿐이다.

그럼 어떻게 하는 게 팀장의 올바른 말일까? 책임지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이렇게 말하면 된다.

“앞으로 보고서 작성할 때 더블체크가 필요할 것 같네. 정 과장, 일 많겠지만 앞으로 이 대리가 보고서 작성할 때 검수 좀 해줘요. 이 대리는 보고서 작성하면 일단 정 과장한테 피드백 받고 제출해요.”

자신의 실수 때문에 정과장에게 일이 늘어나는 걸 알게 되면, 팀원 스스로 부끄러움을 느낄 것이다. 그리고 같은 실수를 저지르지 않기 위해 자발적으로 애쓸 것이다. 이런 대처로 팀장은 팀원에게 분명히 책임을 물었고, 책임지는 방법을 가르쳤다. 또한 실수를 반복하지 않을 의지를 갖게 했고, 같은 실수가 반복되더라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할 구조도 만들었다. 팀원의 실수를 직설적으로 질책한 팀장이 얻을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많이 얻었다.

‘지적질’, ‘꼰대질’, ‘선비질’ 이런 말을 듣지 않으려면 섣부르거나 직설적인 비판은 반드시 피해야 한다. “지적(指摘)을 아낄수록 지적(知的)인 사람이 된다” 하는 말도 있지 않은가.

 

해당 글은 도서 <팀장의 말투>(김범준 저)를 재편집하였습니다.

 

 

공유하기

HR솔루션 원티드스페이스

인사 업무 시 필요한 모든 기능은 여기에!

보러가기
Subscribe
Notify of
0 개의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인살롱 인기글

이노베이션 사람에서 답을 찾다 #1 코로나와 이노베이션

모든 변화의 중심에는 사람이 있다.    일을 하며 늘 잊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문장이다. 원티드로부터 인살롱에 기고를 부탁받았을 때, 문득 저

마주치며 나아가는 사람들

  2022년 가을은 제게 특별한 계절이 되었습니다. 드디어 갈망하던 HR 세계에 입문하게 되었거든요.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2022년 겨울, 반가운

동기부여에 가장 중요한 것은 이것!

퇴근하고 집에 갔더니 아내와 아이 모두 기분이 매우 안 좋다. 부모와 자녀 사이에 이런 표현을 쓰기엔 좀 그렇지만 ‘싸웠다’고 한다.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