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여담당자로 성장하기(4대보험 건강보험료 편)

저번 포스팅(주니어 인사 담당자는 주로 무슨 업무를 할까?)이 인기글로 선정되어 기쁘면서도 미흡한 부분이 많아

조금은 부끄러웠지만 많은 관심에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주니어분들께 유용한 글을 많이 게시하도록 노력할게요!!

이번 포스팅은 주니어 단계에서 급여 담당자로 성장하기 위해 가장 먼저 파악해야 하는 4대보험 중 건강보험료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4대보험은 한 사이클을(1년) 돌면 파악이 되겠지만, 그전까지 많이 헷갈리는 업무라 생각됩니다.

(필자도 처음에 4대보험을 접했을 때 많이 헷갈려서 건강보험공단에 정말 많은 문의를.. 하면서 경험을 쌓았답니다.. 허허)

(출처 네이버 이미지)

 

이번에는 급여 공제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다음에는 퇴직급여 및 휴,복직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4대보험이란? 총 4가지로 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 총 4가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처음 인사팀 면접 때 묻고 했답니다.)

(4대보험 정의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

 

위 항목 중 건강보험료 급여에 공제 하여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우선 산출 방식을 적어 보겠습니다.

건강보험료 산출방법 :

( ex보수월액(2.500,000원) * 3.495%(6.99%/2) = 87,375(가입자 부담금)

장기요양보험보험료 산출수식 87.375 * 12.27% = 10,720(가입자 부담금)

두 항목을 각 각 더해주면 87,375 + 10,720 =  98,090원(원 단위 절사, 가입자 부담금)

위 방법으로 근로자 각 각 보험료를 산정하지 않고, 보통 각 회사마다 대대로 내려오는 급여 대장이라는 엑셀 파일에

매달 18 ~ 22일 사이에 건강보험공단에서  직장 가입자 보험료 부과(산출)내역서(건강보험)를  보내주면  사회보험 EDI로

수신하여 개인 별 엑셀 파일로 변환하여 급여 대장 시트에 삽입하여, 수식을 걸어 공제 처리를 하는 경우가 다반사라 여겨집니다.

위 경우보다 자세하게 파악을 하고자 필자는 전월에 공제 된 금액과 당월에 공제 될 보험료 차액을 비교해 봤습니다.

 

왼쪽에 산정된 내역은 건강보험공단에서 당월 산정된 공제 내역이고, 오른쪽은 전월에 공제 된 내역입니다.

우선 위 비교 파일을 분석해 보면 특이사항은 21년도 추가 정산분인데, 21년도 급여 보수 총액을 보통

22년 1월 말쯤 건강보험공단에서 보수총액 신고 안내가 오면 22년 03월 10일까지 신고하면 되고,

신고된 보수총액에서 산정된 건강보험료보다 실제 21년도에 납부한 건강보험료가 적다면 10분할로(분할 방법 선택 가능)

추가 정산분이 발생합니다.

 

보수 총액 신고 이후  04월에 건강보험료 지급하고 나면 그 다음 05월부터 ~ 내년 01월까지는

특이사항이 없다면 공제 금액은 동일하게 갈 것입니다.

두 번째 특이사항은 위 파일 맨 밑에 보면 퇴직자가 발생하여 고지 금액이 발생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는 전월 15일 이후 퇴직자가 발생한 경우 퇴직에 대한 당해 연도 보수 총액을 계산한 결과 추가 산정된 금액이므로,

퇴직급여에 공제하고 지급했다면 예수금으로 남아있을테니 보유한 예수금으로 당월에 처리하면 됩니다.
(건강보험 상실신고하면 전년도, 당해 연도 보수총액 신고란이 있고, 신고하면 건강보험공단에서 추가정산분을 보내줍니다.)
※만약에 공제를 안 했다면….퇴직자에게 받아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니.. 꼭 공제해서 지급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급여에서 4대보험 중 건강보험료 공제 방법 포스팅을 해보았는데, 사실 위 내용 보다 훨씬 많지만..

그래도 꼭 알아둬야 하는 내용만 적어봤으니 급여 업무를 하시는 주니어분들께 오늘도 도움되는 글이였으면 좋겠습니다 🙂

계속해서 급여 담당자로 필요한 글로 업데이트 할 예정이니 부족해도 너그럽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ㅎㅎㅎ
이상입니다.

 

 

공유하기

Subscribe
Notify of
0 개의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인살롱 인기글

어떤 채용 담당자가 되어야 할까?

대-이직의 시대, 빠르게 비즈니스가 성장해야 하는 만큼 채용이 중요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것은 개발자 공급 부족으로

뉴노멀 시대의 이직전략

코로나가 모든 것을 바꾸어 놓았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시대이다. 비대면 재택근무가 일반화되고, 삼성, 현대차, SK, LG 등 대기업 중심의 취업시장이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