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 새내기의 기업문화 입문기 01. 업무 영역 설정하기

완벽한 사무실 구하기, 스매치

빅데이터 기반으로 1분만에 최적의 사무실을 제안합니다.

회사에 딱 맞는 오피스, 고민이세요?

퍼시스 커뮤니티 오피스 투어로 최신 트렌드를 알아보세요!

손에 잡힐듯 잡히지 않는 단어, “기업문화”.

약 1년 전부터 기업문화에 대해 깊게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원래 홍보직무로 입사했지만, 우연한 기회에 인사팀으로 발령받아 기업문화 업무를 맡고 있는 HR 새내기입니다. 주전공이 신문방송학이고 홍보직무를 준비했기에 ‘사내 커뮤니케이션’ 혹은 ‘조직 커뮤니케이션’이라는 단어는 익숙했지만,  ‘기업문화’ 혹은 ‘조직문화’라는 단어는 낯설게만 느껴졌습니다. HR의 한 분야라는 사실도 발령받고 업무에 대해 공부하면서 처음 알았습니다.

기업문화협의체와 주니어보드 운영 등 주어진 업무를 통해 기업문화의 첫 발을 떼기 시작했지만, 전임자가 명확하지 않은 새로운 업무였기에 “HR에서 접근할 수 있는 기업문화 업무는 무엇이며, 어떤 방향으로 업무 영역을 구축해야할까”에 대해 아직도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한 개념을 잡기 위해 다양한 서적과 강연,  타사 사례 등을 찾아봤고 이 과정 중 원티드에서 진행하는 강연과 인살롱에서 기업문화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지금부터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규정해 본 HR에서의 기업문화 업무영역 4가지를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1. 가치체계 수립(미션, 비전, 핵심가치)
기업문화는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추상적인 개념이기에 목표와 지향점을 구체화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합니다.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이 미션, 비전, 핵심가치로 대표되는 가치체계를 수립하는 것입니다. 어떤 회사들은 여기서 더 나아가 핵심가치 실천행동이나 일하는 방식을 만들어 그 내용을 더욱 구체화하기도 하고 기업문화 자체를 브랜딩하여 회사의 가치체계와 또 다른 기업문화만의 가치체계를 수립하기도 합니다. 어떠한 방법을 선택하던 기업문화라는 넓은 바다에서 표류하지 않도록 목적지를 확실히하는 것이 업무의 첫 단계가 되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2. 설문조사 및 인터뷰(기업문화 현황 및 개선점 파악)
가치체계를 수립하여 방향성을 설정했다면 도달하기 위해 개선해야할 부분은 무엇일지, 임직원들은 기업문화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알아봐야합니다. 많은 회사들이 기업문화 진단, 조직건강도 진단(Organizational Health Index), 직원의식조사(Employee of Survey) 등 다양한 방식과 이름으로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합니다. 이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점과 추진 과제를 도출해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수립하고 이것이 잘 이루어졌는지 또 다시 진단하는 일련의 사이클을 구축해야합니다. 단발성으로 진행되거나 진단의 주기가 길어지게 되면 임직원들이 무관심해지거나 진단 자체에 대한 신뢰를 잃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3. 공감대 형성을 위한 사내 커뮤니케이션
가치체계를 수립하고 개선점을 파악했다면 이를 실천으로 옮기기 위한 조직 내 공감대 형성이 필요합니다. 기업문화 담당자 혼자 조직 전체의 기업문화를 변화, 개선시키기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조직 내 분위기를 조성하기위한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합니다. 경영진과 유관부서와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기업문화 관련 협의회나 협의체, 위원회 등을 조직하고 운영하는 것도 그 방법 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직원들 중 기업문화 Facilitator나 주니어보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선발하여 기업문화 지향점을 전파하고 변화에 동참시키는 방법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4. 조직개발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HR에서 기업문화 개선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Action Plan 중 하나는 조직개발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것입니다. 보통은 본부나 팀 단위 워크숍을 통해 기업문화를 포함한 가치체계를 전파하고 내재화하는 활동을 진행합니다. 더 나아가서는 일하는 방식에 대해 토론하고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할지 고민한다거나 본부나 팀 단위 미션과 비전을 수립하는 사례도 있습니다.

 

위 4가지가 보상이나 인사기획, 채용 등 다른 업무와 중복되지 않는 기업문화 고유의 업무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1. 가치체계를 수립하고
2. 진단을 통해 개선점을 파악해
3. 사내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조직 내 공감대를 형성하고
4. 조직개발 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직접적으로 전파하는

일련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되어야 상호 간의 시너지를 발휘하며 더 큰 효과를 내지 않을까 싶습니다. 앞으로 이 4가지 업무에 살을 붙여가면서 기업문화 업무의 영역을 구축해 나가고자 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1가지 업무씩 자세하게 다뤄보도록 예정이며, 교육파트에 속해있다보니 HRD 측면에서 기업문화 업무를 바라봤을 수 있다는 점 참고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외에 기업문화 업무 영역에 대한 의견이나 사례가 있다면 공유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새내기를 위한 선배님들의 따뜻한 조언을 기다리겠습니다.

 

공유하기

기업 브랜딩이 고민된다면?

원티드, 아웃스탠딩과 함께해보세요

보러가기
Subscribe
Notify of
3 개의 댓글
Newest
Oldest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rlawndrms321
멤버
rlawndrms321
7 개월 전

좋은 글 감사합니다. 후속 편이 궁금해요~~

강지상
필진
강지상
2 년 전

좋은글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기대되네요~!

인살롱 인기글

진정성있고 역동적인 온보딩 설계하기: [5]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꾸준한 개선

1. 호기로운 ENFP형 인사담당자의 이야기   나는야 호기로운 ENFP형 인사담당자! 보수적인 분위기였던 전 직장을 뒤로하고 학수고대하던 스타트업으로 이직에 성공하였고, 이

HR Open Class: 2021년 달라지는 노동법령 및 유의사항

💡2021년, 우리 회사의 인사노무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가장 쉬운 방법! 달라지는 노동법령과 노동정책에 따라 예상되는 실무상 이슈를 파악하고, 노동법령에 따른 회사내규

HR Analytics : 실무자로서의 네 번째 고민 ‘뭐부터 시작할까?’

지난 아티클 참고(1) : https://hr.wanted.co.kr/insights/why-are-you-doing-hr-analytics/ 지난 아티클 참고(2) : https://hr.wanted.co.kr/insights/hr-analytics2/ 지난 아티클 참고(3) : https://hr.wanted.co.kr/insights/hr-analytics-3/   6. 분석을 위한 도구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Scroll to Top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