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는 무엇을 잘해야 하는가?

리더의 가장 중요한 일 하나를 결정하라면?
팀장 대상의 역할과 조직 장악하기 강의를 하면서 “실무에서 다양한 일을 하는 리더들이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은 무엇이냐?” 질문합니다. 방향 제시, 과제 창출, 비전과 전략 수립, 성과 창출, 직원 육성, 한 방향 정렬 등 여러 답변을 합니다. 무엇일까요?

의사 결정이라고 설명합니다.

 

의사 결정을 잘하는 리더는 어떤 특징과 장점이 있을까요?
수많은 리더들을 만나고, CEO를 분석한 책, 인터뷰들을 살펴보며
의사 결정을 잘하는 리더들의 5가지 큰 특징을 살필 수 있었습니다.

첫째, 회사와 상사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회사에 대해 자료를 보지 않고 구체적인 수치를 대며 설명합니다.
최소 5개년의 매출과 매출 원가 영업이익과 당기 순이익에 대해서는 명확합니다.
회사 사업의 본질, 현재와 미래 전략, 제품의 밸류체인에 대한 설명을 들으면
얼마나 회사와 사업 그리고 제품에 대해 애정을 가지고 있는 가를 느낄 수 있습니다.
조직이 어떻게 되어 있고, 조직별 강약점은 물론 조직장에 대해 누가 적임자라는 것까지 꿰뚫고 있습니다.
임직원에 대해 한 명씩 관심을 가지며, 임원과 핵심 직무 전문가는 확실하게 알고 있습니다.
시장과 경쟁사의 변화에 민감합니다. 특히, 고객이 누구이며, 어떻게 분류하였고,
핵심 고객이 회사에 대한 가치와 원하는 바를 정확하게 알고 있습니다.
CEO가 아닌 리더들은 상사에 대해 인정과 존경을 바탕으로 격의 없는 소통을 합니다.
상사가 원하는 바를 알고, 상사의 꿈과 힘든 점을 알고 보완해 줍니다.

둘째, 전사적 관점의 의사 결정을 합니다.
이들은 사업의 본질과 변화에 민감하며 길고 먼 시각으로 회사와 제품을 판단합니다.
자신과 자신의 조직의 이기를 위한 의사 결정이 아닌 전사 관점을 견지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조직은 힘들고 어렵지만, 회사에 이익이 발생하면, 조직장은 직원에게 자신이 솔선수범 하여 함께
회사의 이익을 극대화하도록 일하자고 요청합니다. 전사적 관점의 의사 결정을 하기 때문에 인재를 소중히 여깁니다. 실패를 한 직원에게 실패에 대한 책임으로 퇴직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습니다.
실패의 교훈으로 더 큰 성과를 내도록 격려하고 이끕니다.

셋째, 한 곳에 모아 한번에 의사결정을 합니다.
혼자 하는 일이 아닌 함께 해야 일인 경우, 함께 하는 조직장과 담당자를 개별로 찾아가 요청하고 협의하며 일 처리하지 않습니다. 조직장과 담당자 전원을 한 장소에 모아 일의 의의, 바람직한 모습, 방향, 추진 계획 등을 설명하고 역할과 책임을 나누며 명확하게 합니다. 모인 조직장과 담당자를 동기부여 하며 일이 추진되도록 합니다.
신속하게 의사 결정을 추진하여 담당자가 일의 지연으로 불안하게 하는 일이 없습니다.

넷째, 자신이 내린 결정에 대해 책임을 집니다.
이들은 책임을 지지 않거나 전가 하여 조직 간 갈등과 불협화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합니다.
도전에 대한 실패 책임을 묻기 보다는 실패를 격려하여 도전하도록 합니다.
책임 소재가 불명확한 일에 대해서는 본인이 책임을 질 것이니 과감한 실행을 당부합니다.
발생된 일에 대해서는 책임지는 자세로 임합니다.
이들이 가장 부끄러워하는 일은 조직 내 정도 경영을 어기는 일이 발생했을 때입니다.
이들은 자신이 알지 못하는 금전적 부정, 성 이슈, 중대한 법 위반에 대해 책임을 지고 물러나기도 합니다.

다섯째, 높은 전문성입니다.
이 모든 것은 이들 리더들이 사업, 직무에 대한 높은 전문성이 있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아는 것만큼 보인다고 합니다. 이들은 자신의 경영과 직무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수 없이 많은 고민을 합니다. 전문가를 만나 대화하며 그들의 전문성에서 시사점을 배웁니다.
이들의 손에서 책이 떨어질 날이 없다고 합니다.
무엇보다 현장에 있는 직원들의 문자, 메일, 전화를 통해 현장의 상황을 냉철하게 분석합니다.

 

리더가 해야 할 일이 매우 많습니다. 궁극적으로 보면 사업의 지속적 성장과 성과 창출입니다.
이는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수많은 시간과 사람들의 노력의 결과입니다.  이를 한 방향으로 정렬하게 하고 열정을 다하게 하는 것은 사업, 제품, 인재, 경영 시스템, 인프라, 문화 등에 대한 리더의 의사 결정의 결과 아닐까요?

공유하기

Subscribe
Notify of
1 개의 댓글
Newest
Oldest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healing4s
멤버
healing4s
2 개월 전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인살롱 인기글

직원 마음 케어 서비스, 원티드 허그

원티드 허그는 HR 테크 기업 ‘원티드’와 국내 1위 심리 상담 서비스 ‘허그맘허그인’의 파트너십으로 제공되는 기업 EAP 서비스입니다. 지금 특별한 심리

초과근무 없는 게임회사

초과 근무 없는 게임회사 4주간의 구성원 총 초과근무시간 총합 단 3시간!!!   이번 초과근무수당 해당자 단 2명?  이번 달 급여를

error: 컨텐츠 도용 방지를 위해 우클릭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로그인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문의사항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로그인
벌써 3개의 아티클을 읽어보셨어요!

회원가입 후 더 많은 아티클을 읽어보시고, 인사이트를 얻으세요 =)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