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게시물 🔔
따끈따끈한 #최신소식 을 만나보세요


승진 탈락자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승진 탈락시, 기분 좋은 사람은 없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에게는 관대하고 소중하다. 자신이 한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 너그럽고, 잘한 행동에 대해서는


HRD담당자가 공부한 통계 개념 -2편-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정말일까? <출처 : Unsplash> (1) 인과관계(Causality) 인과관계란 먼저 앞서서 발생한 하나의 현상이 나중에 발생한 다른 현상의 원인이


조직문화가 성과에 도움이 된다고요?! (무엇이 성과를 이끄는가를 읽고)
회사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성과다. (어쩌면 가장 중요한 전부라고 이야기할 수도 있다.) 성과관리에 관련된 책을 찾다가 <무엇이 성과를


팀장은 하기 싫고 승진은 하고 싶어요!
1) 국내 대기업 HR에 다니며 신인사프로젝트 담당했다. 신인사프로젝트의 목적은 ‘연공중심에서 직무중심의 인사제도 개편’이었고 ‘수직적인


입사 3년 차인데 아직도 이 정도밖에 못해?
“요즘 왜 이렇게 아무것도 하기가 싫고, 인생의 낙이 없을까? 작년까지는 멀쩡했는데! 갑자기 요즘 왜 이러지?” “도통 일이 풀리지 않고


HR담당자가 알아야 할 Succession Management POV
HR담당자가 알아야 할 Succession Management POV(Point of View) : C-Suite(고위경영진)의 꼭 확인해야 하는 DATA는? ① 우리는 늘 고민합니다. 어떤


회사에 왔으면 제발 일 좀 합시다!
“지난번에 오프라인으로 진행했던 프로모션을 금번에는 온라인도 같이 진행해 보면 어떨까 하는데…” “온라인으로 하면 제품 출고에 택배 발송 등 우리 상품지원팀에서


어쩌죠, 눈 떠보니 어느새 장기근속자가 되었어요!
본격적인 이야기를 하기에 앞서 <장기 근속>의 기준을 몇 년으로 보아야 할지 찾아보았습니다. 물론 업계와 기업의 규모마다 다르겠지만 제가 일하고 있는


4년 연속 탁월 등급을 받은 직원의 조치
한 부서의 최고 성과를 내는 직원, 어떻게 할 것인가? 4년간 같은 팀에서 일한 A과장의 고과는 항상 탁월(S)입니다. 회사는 1년 주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