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똥 싸고 있네’ 3000년 전 이솝 우화가 예측했던 K-인사
인력/조직 계획, 채용, 면접, 신규입사자 온보딩, 업무성과 측정 및 평가, 보상과 승진, 변화관리, 급여, 복지, 교육, 조직문화, 안전관리, 노무, 총무
인력/조직 계획, 채용, 면접, 신규입사자 온보딩, 업무성과 측정 및 평가, 보상과 승진, 변화관리, 급여, 복지, 교육, 조직문화, 안전관리, 노무, 총무
엄마 : “딸~ 부탁이 있어! 인살롱에 쓸 그림이 필요한데, 어제 본 영화 <소울(soul)> 그림 좀 그려 줄래?” 딸 :
HR담당자에게 연말, 연초는 조직개편, 인사평가, 보상 등으로 가장 바쁜 시기입니다. 항상 구성원들은 불만을 이야기 하고 개선을 요구하는데 회사의 자원은 그에
“여기에 뭐가 보입니까?” 사람들은 ‘당연한 걸 왜 묻는 거지?’ 하며 이구동성으로 답했다. “검은 점이요.” 초청 강사는 “검은 점 말고 더
주 52시간제가 시행되면서 선택적 근로시간제, 자율출퇴근제 등 다양한 근무형태가 도입되고 이제 겨우 안정화가 되어가는 듯하니, 올해 초부터 코로나19로 인해 기업들은
OKR(Objectives and Key Result)이 뜨거운 화두다. 구글, 에어비앤비를 비롯한 혁신기업의 성과관리 툴이라는 것이 알려지고, 존 도어가 펴낸 책까지 출간되면서
<조진우> 역량의 개념 및 도출 그리고 활용방안 어느덧 인사평가의 시즌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평가를 시행하는 기업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일반적으로 인사평가 시행 시
과거 80년대 압축성장기 시절부터 국내 기업들의 평가에 대한 고민은 늘 있어왔다. 능력주의 인사관리에 대해 고민하던 80년대부터 90년대 글로벌화가 되면서 글로벌
여러분은 성장이 즐거우신가요? 여러분은 성장이 재밌나요? 늘 하고 싶나요? 언제 제일 많이 성장했냐고 물어보고 답을 들어보면 ‘돌아보니 가장 고통스러웠을 때’라고
요즘 A업계는 어떤 평가/보상 제도를 운영하고 있대요? 평가/보상/피드백 제도를 도입하려면 어떤 것을 고려해야 하나요? 평가/보상/피드백 제도를 운영하기 위해 어떤 HRIS를
세상이 변하고 있습니다. 세상의 변화는 이제 ‘빠른’ 이라는 형용사로는 담을 수 없는 것이 되었습니다. 기존의 것이 다른 모습으로의 변화 뿐
“조직책임자와 구성원 모두를 만족하는 성과관리의 방식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어떻게 전개하는 것이 효과적·효율적일까요?” <김도영> 성과관리는 리더십, 일하는 방식, 조직문화 등
인살롱 계정이 없으세요? 회원가입